본문 바로가기

UOS/21-1_환경생태학

환경생태학_Epilogue ☆원래라면 교수님과 답사를 다니면서 정식적인 토론도 가능했을 수업인데, 그게 별로 없었다. 그런데 그거까지 했다면 이번 학기는 버텨내질 못 했겠지...ㅋㅋㅋ 차라리 다행이다. 부담없이 들을 수 있는 수업이었고, 환경에 대한 상식적인 부분을 많이 채울 수 있었던 것 같다. 아직도 아쉬운 게 있다면 중간고사를 정말 공들여서 공부했는데, 너무 잘하고 싶은 마음에 시간이 부족해서 답안을 다 제출하지 못한 점... 그게 아니었더라면 더 나은 성적을 받았겠지만, 머리 속에 잔재있는 지식이 나에겐 더 중요하니.. 그 점을 생각하면 충분히 성공이다. 생태학이 우리 세상에서 어떤 의미를 가져오는 지. 그리고 자연의 법칙이 인간에게도 똑같이 적용된다는 것. 등을 크게 깨달았다. 엄청 딥하게 파고들진 않았는데, 이는 교수님.. 더보기
환경생태학_W15 210610_09:00 발표는 하지 않고 PT 만들고, 보고서 만들어야 함. 각 국가별로 생태적으로 보호를 하고 있는데 어떤 것들이 있나 보호지역(Proteceted Area = PA) 국립공원, 천연보호구역, 원시야새지역, 야생생물관리지역 밑에 그림이 상당히 중요 -> 이용객이 아니라 탐방객이라는 말을 씀. -> 탐방 : visit -> 이용객은 사람이 주체, 탐방객은 자연이 주체이고 내가 방문하는 것. 개념이 좀 다름 -> 예전에는 보호만 하려고 해서 지역 주민 간에 갈등이 벌어짐. -> 보호지역은 보호만 하는 게 아니라 그 지역의 전통 생활 양식과 탐방객을 관리를 해야한다. => 통합적 관리(Integrated Management, Total Management) 보호지역의 개념이 변화하고 있다. .. 더보기
환경생태학_W13 더보기
환경생태학_W11 2021.05.13 09:05am 비오톱 지도를 만들려면 자료를 보고 조사를 해야되는데 1/1000 수치지형도를 이용했었음 -> 예전에는 비싸게 샀는데, 요즘은 인터넷에서 무료로 구할 수 있음 국토정보플랫폼 -> 국토정보맵 토지이용현황 토양피복현황 -> 포장재료 -> 물순환 확립 여부를 알기 위해 조사 -> 빗물이 얼마나 잘 투과하는 지 알 수 있음 현존식생 비오톱 조사 야장을 잘 참고해서 과제를 하면 된다 비오톱 지도를 조사할려면 현장 조사를 가야되는데 3단계로 나눠서 조사를 함 색상 코드로 대분류를 함 평평한 지붕인지 아닌지를 확인할 수 있음 -> 비오톱 지도 활용 예시 식물군집구조를 통해 -> 범위가 좁으면 식생이 뭐가 분표학 있는지 자세하게 볼 수 있음 벨트트란색트조사 점자법을 하기 전에 다른 식.. 더보기
환경생태학_W10 2021.05.05 09:12am 과제 : 중간고사 시험 다시 제출하고 가능한한 자세히 쓰라. 생물 종 마다 생존곡선이 다른 이유 -> 살아남는 전략 -> 먹이사슬 단계상 하위단계에 있는 생물은 많이 낳게 됨. -> 올챙이 상태에서는 많은 동물의 먹이가됨. -> 올챙이가 물에서 나올 때 거의 다 죽음. 조류, 포유류한테 다 잡아먹힘 총계법 -> 인구수 헤아릴 때 -> 개체 수가 작거나 범위가 작을 때 씀 -> 표본법을 쓰는 이유는 규모가 커서 시간이 많이 들어가기에 표본을 써서 시간을 단축 모래언덕에는 초지가 있음 -> 태안에는 사구가 많음. ex) 신두리 사구 밀도측정법이 중요하다고 했음 밀도에 따라서 질병이 생김 아프리카돼지열병 밀도가 높아지만 질병에 생길 확률이 높음 분산 상당히 중요함 -> 어떤 .. 더보기
환경생태학_W9 2021.04.29 09:01am ☆평가 없이 평가할 수 있을까?? 답을 쓰는 과정이 세상 살아가는 데에 도움이 될 수 있도록 나 중심이 되다보니까 상대방에 대한 배려가 없어지는 것이 현대 사회의 문제 토양 층상 구조 -> 우리나라를 포함한 북반구의 온대지방, 위도 30~40도 사이에 있는 그런 지역의 자연의 층상구조를 설명했었음 -> 사막은 당연히 아님 -> 교목, 아교목, 관목, 초본이 형성되어있는 토양의 층위구조 -> 논이 사실 습지이지만, 층위가 다 다름 -> 비층에 살 수 있는 생물이 있을까요? 있을 것. 아마도 미생물이 살고 있지 않을까 핵심종 vs 지표종 -> 핵심종은 만들어진 단어. 어떤 지역에 주를 이루는 종. 우점종 -> 희소종이 될수록 지표종이 될 수 있음. -> 희소종은 아주 특수한.. 더보기
환경생태학_W8 ☆따로 수업은 없었고 내가 수강하는 5과목 중에 유일하게 중간고사를 치뤘다. 시험 형식은 논술형. 꼭 시험을 위해서는 아니더라도 수업도 착실히 참여하고 시험도 열실히 준비했었다. 내가 다 맞을 수 있을 것이라고 생각했고, 시험 문제를 보고나서도 그럴 수 있을 것이라고 생각했다. 헌데, 잘할려고자 했던 그 욕심 때문에 제 시간 안에 답안을 작성하지 못 했다. 분명 내가 몰라서 그런 것도 아니었을텐데. 겸손하지 못 했던 나 때문에 안타까운 결과가 일어났다. 최선을 다했으니 후회는 없다고 생각이 들면서도 아쉬운 건 어쩔 수 없는 것 같다. 그 덕에 좋은 깨달음을 얻었다. 쉽고 빨리 풀 수 있는 문제부터 풀어야 된다는 것. 내가 제일 잘 한다는 그 자만심을 버려야 된다는 것. 더보기
환경생태학_W7 2021.04.15 중간 시험 공지 4월 22일 10시 11시까지 답 작성 9시 50분에 시험지 배부 11시 10분까지 올라오지 않으면 안 본 것으로 간주 문제를 충분히 읽고 그 문제에 맞도록 답을 쓰면 됨 논술을 해야댐 상대 평가임 맹그로브 아열대나 열대에 해당하는 지역에 갯벌에 나무가 자라서 숲을 이룬 지역 염생식물임 식물도 여러 가지 진화 과정이 있었는데 완전한 짠물은 아니고 민물과 짠물이 합쳐지는 염도가 좀 낮은 곳에서 자라는 식물 우리나라에서 대표적으로 알 수 있는 곳은 솔의 숲지 생태공원을 볼 수 있음 -> 염도가 빠져나가면서 어떻게 생태계의 천이가 일어나는지 알 수 있음 염도가 몇 이다라고 규정되어있지는 않음 곰의 동면 먹이때문에 동면을 함 먹을 것이 부족해져서 에너지를 비축하기 위해 쉬는 ..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