동양조경문화론_W9
211110_11:53 한양 도성 -> 내사산(도시를 직접 감싸주는 산) : 북악산, 낙타산, 목멱산, 인왕산 -> 외사산(도시를 사방에서 감싸주는 뚜렷한 네 개의 산) : 북한산, 덕양산, 관악산, 용마산 -> 도성 : 도시를 방어하는 성 -> 내사산이 도성을 결정함 한양의 풍수 -> 분지 형태 -> 북악산(주산) -> 삼각산(조종산) -> 좌평묘 우백호 -> '수구'라는 물의 흐름이 중요 -> 청계천(내수구), 한강(외수구) 주례, 고공기에 따른 공간구성 -> 좌조우사 : 왼쪽에는 종묘, 오른쪽에는 사직단(누가 보느냐의 관점) -> 면조후시 : 전면에 육조의 관아, 북문 밖에 시전 설치; 경복국의 경우, 종로를 전면에 배치 한양 도성 내부 -> 예전에는 창덕궁, 창경궁이 동궁이었음 -> 북촌; 경복궁..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