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UOS/21-2_동양조경문화론

동양조경문화론_W12 함양 -> 안암지 -> 불규칙한 호안 -> 바다를 형상 -> 아래는 막돌, 위에는 장대석을 쌓음 -> 치장이 필요한 부분만 장대석을 쌓음 -> 호안이랑 구분되는 곳에는 '바른 층쌓기'를 함 -> 입수구와 출수구가 연못의 구조를 설명하는데에 중요한 사항 -> 계림 -> 대릉원 -> 무덤이 연속되어있는 경관 -> 천마총; 안에서 말의 장식을 볼 수 있음; 내부에서 보여주는 진정성은 의문을 가짐; 실제가 아닌 모사품을 전시함 -> 석조 유물을 어떻게 처리할 지 고민이 되었을 것 같음 -> 독락당 -> 월성 손씨 vs 여강 이씨 -> 이언적 -> 토론 주제 -> 테세우스의 배 -> 좀 더 확실한 마음을 가지고 복원을 진행해야되는 것이 아닌가? -> 수원화성이 복원물로서 성공적인 이유 : 기록물 -> 섣부른 복원.. 더보기
동양조경문화론_W11 211117_14:04 별서의 개념도 -> 신라 때부터 유래됨 -> 상류 남자 계급의 남자들이 누렸음 -> 누릴 수 있는 계층이 한정적이었음 -> 집이 아닌 곳에서 자연을 가까이에서 누렸던 공간 -> 담장으로 둘러진 공간안에 채가 여러 채 있고 채 앞에 마당이 있음 -> 자연을 바라볼 수 있는 조망 공간과 긴밀한 관련이 있음 별서의 사상 -> 도가, 유가, 신선사상 -> 자연의 순응하는 것이 유교보다 더 강함 -> 은거, 은일; "내가 선택한 삶이야" 별서의 영역 -> 공부도 하고 사교도 함 -> 벌서 : 자연과 벗하며 살기 위해 만든 소박한 주거 -> 별업 : 선영의 관리를 목적으로 지은 제2의 주거; 유교적 질서에서 충분히 있음직한 공간; 효를 실천하기 위한 공간 -> 내원과 외원으로 별서를 구분 -.. 더보기
동양조경문화론_W9 211110_11:53 한양 도성 -> 내사산(도시를 직접 감싸주는 산) : 북악산, 낙타산, 목멱산, 인왕산 -> 외사산(도시를 사방에서 감싸주는 뚜렷한 네 개의 산) : 북한산, 덕양산, 관악산, 용마산 -> 도성 : 도시를 방어하는 성 -> 내사산이 도성을 결정함 한양의 풍수 -> 분지 형태 -> 북악산(주산) -> 삼각산(조종산) -> 좌평묘 우백호 -> '수구'라는 물의 흐름이 중요 -> 청계천(내수구), 한강(외수구) 주례, 고공기에 따른 공간구성 -> 좌조우사 : 왼쪽에는 종묘, 오른쪽에는 사직단(누가 보느냐의 관점) -> 면조후시 : 전면에 육조의 관아, 북문 밖에 시전 설치; 경복국의 경우, 종로를 전면에 배치 한양 도성 내부 -> 예전에는 창덕궁, 창경궁이 동궁이었음 -> 북촌; 경복궁.. 더보기
동양조경문화론_W8 211029_17:27 ☆과거의 실수를 반복하지 않기 위해 수업 전 미리 예습을 했다. 단순히 재미로 한국의 역사에 대해서 쑥 훑어보는 것. 직접적인 관련은 없더라도 항상 연관시켜서 이해하려는 내 특성상 도움이 많이 될 거라고 생각했다. https://www.youtube.com/watch?v=SSzYCXkd_RQ&list=PLcSLknlk2bma4ywfYiajD-qfTjRftTbQ1&index=1 한국사 211027_14:03 한국 정원은 종교와 매칭해서 구분할 수 없다 -> 전통 사상으로 이해하는 게 좋음 -> 특성을 아는 정도로만 할 것임 자연숭배와 산악숭배사상 -> 가장 핵심이 됐던 자연은 무엇일까? -> 우리는 효용이 높은 도시 생활을 하다보니 자연을 긴밀히 느낄 수 없다. -> 바로 '산' -.. 더보기
동양조경문화론_W7 211029_17:10 ☆시험 범위는 방대했다.ㅠㅠ 중국과 일본의 역사가 1도 머리에 없는 상태에서 꾸역꾸역 넣으려니 과부화가 걸리는 줄 알았다. 설계와 같이 해보려니 학교에 내내 살았었다. 중국과 일본 역사에 관한 유튜브의 도움을 많이 받았다. 나는 다짜고짜 외우려는 것보다 맥락과 흐름이 기반으로 있어야 구체적인 정보도 쉽게 외울 수 있었다. 그 점을 활용해서 공부를 해보았다. https://www.youtube.com/watch?v=KTLQ_0gIE6c 중국 역사 https://www.youtube.com/watch?v=uYyR28lMugE 중국 수도 변천 과정 https://www.youtube.com/watch?v=iiWOHiwF54g 일본 역사 시간이 꽤 걸리긴 한 영상들이지만, 정말 도움이 많.. 더보기
동양조경문화론_W6 211013_24:19 창랑정 -> 창랑은 맑은 물에 머리를 씻고 라는 뜻에서 유래됨 -> 회랑이 동선, 공간 구획, 심미적 특징을 가짐 -> 중국은 양식에 따라 중국을 설명하진 않는다. 계리궁 -> 회유식 정원 -> 일본은 어떠한 양식에 따라 정원을 설명 -> 식재를 인위적으로 전정하는 것이 일본의 특징 -> 관리를 중요시여김을 알 수 있음 예원 -> 구곡교 : 9번 꺾여 있는 다리 -> 물이 중요한 요소 -> 점입가경 : 가면 갈수록 경치가 더해지는 곳 -> 상해에 있음 -> 부지가 굉장히 넓고 김 -> 담장으로 여러 개로 구획되어 있음 -> 새로운 공간들을 경험할 수 있도록 구성되어 있음 -> 남방 정원의 특징은 지붕이 엄청 뾰족함 -> 누창이 기대감을 줌 -> 태호석 평등원 -> 불교 사상을 반영.. 더보기
동양조경문화론_W5 21006_14:03 나중에는 고산수정원에 이끼밖에 사용하지 않았다 -> 추상적이고 축약적임 천수각 -> 위세당당함을 보여줌 -> 이런 흐름 안에서 정원 발달이 어떻게 이루워졌는지 히메지성 -> 성곽& 물 -> 성에서 마을을 다 볼 수 있음 서원조 -> 무과의 과시 -> 정원도 상하개념을 가져옴 -> 전경과 원경이 발생 다도를 위한 다정 -> 귀족으로부터 유행 시작 -> 천리휴; 스님같이 생김; "차를 마시는 것은 선이야" -> 선종 정원에서 취했던 것을 ~ -> 초암풍 -> 귀족의차 문화를 바꿔버렸던 게 천리휴 -> 차를 마시는 여정이 정원 -> 산 속의 암좌 -> ☆종교적인 영향이 있을까? 예를 들면 선종과 같이 -> 야취(야생에서의 정취); 자연 속에서 느끼는 감정 -> 로지; 산골 정서; 걸어가면.. 더보기
동양조경문화론_W4 210929_14:01 일본에는 고대, 중세, 근세로 구분 -> 중국은 중세를 구분하지 않음 -> 우리나라에서 중세를 구분한다면 '고려' 오늘 언급할 시대는 고대와 중세 문명 -> 사람들이 모여 살면서 지혜롭고 발달된 문화 -> 왕조가 수도로 취한 곳에서 문화가 발달 -> 조경도 마찬가지 일본 수도 -> 아스카, 나라, 헤이안(무로마찌, 교토) -> 수도가 수직적으로 위로 이동했음 -> 교토를 방문하는 게 전통 정원을 볼 수 있음 -> 도쿄는 현대 정원 -> 중세 수도는 가마꾸라와 무로마찌 제례(제사) 목적의 경관요소 2가지 -> 1. 신지 2. 암좌 -> '신'은 연못 -> '암'은 바위 -> 신지와 암좌는 원시시대 개념 돌을 놓는 것 -> 석조 -> 석조는 배치하는 것을 이야기 -> 중국의 태호석은 ..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