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10610_09:00
발표는 하지 않고 PT 만들고, 보고서 만들어야 함.
각 국가별로 생태적으로 보호를 하고 있는데 어떤 것들이 있나
보호지역(Proteceted Area = PA)
- 국립공원, 천연보호구역, 원시야새지역, 야생생물관리지역
- 밑에 그림이 상당히 중요
-> 이용객이 아니라 탐방객이라는 말을 씀.
-> 탐방 : visit
-> 이용객은 사람이 주체, 탐방객은 자연이 주체이고 내가 방문하는 것. 개념이 좀 다름
-> 예전에는 보호만 하려고 해서 지역 주민 간에 갈등이 벌어짐.
-> 보호지역은 보호만 하는 게 아니라 그 지역의 전통 생활 양식과 탐방객을 관리를 해야한다.
=> 통합적 관리(Integrated Management, Total Management)
보호지역의 개념이 변화하고 있다.
-> 70년대까지 기능적 가치보다는 풍경의 가치에 관심, 중앙정부에서 관리
-> 20년대까지 과학, 문화, 경제적 가치를 보호. 지역 주민들까지 관리 계획이 수행
-> 이제는 생태계 서비스를 지원하고 기후변화에 적응하고 회복시키고 다양한 부문의 이해당사자들과 함께 수행. 이제 중앙정부는 한 발 물러서있음
생태계 서비스
-> 보호지역 지정했어. 우리한테 뭘 주지? 그게 아니면 하지마!
-> 보호지역이 우리에게 뭘 주는 지 통합적으로 측정해보는 차원에서 4가지 서비스 체계를 만듦
-> 공급서비스 : 생태계로부터 얻는 생산물
-> 조절서비스 : 기후조절, 질병, 물
-> 문화서비스
-> 지원서비스
-> 이런 서비스를 화폐가치로 변환을 하려고 함.
-> 보호지역이 있는데, 보호지역을 자주 방문하는 사람들과 자주 방문하지 않은 사람들과 의료비 차이를 계산함
-> 환경 경제
-> 환경을 보호함으로써 얼마만큼 경제적 이익이 있는지.
-> 지불의사법
-> 인간의 욕구에 대한 가치를 따지는 편이 주를 이룸
-> 최근에 나온 것 중에 회복 가치
-> 생태공원이 있다고 하면, 이게 얼마나 가치있는지
-> 에코 케피탈 : 생태계를 화폐가치화한 거(동일한 개념도 아니고 환경 경제와 위상이 다름)
★통합적 관리 -> 개념 -> 생태계서비스 -> 어떻게 하면 생태계 서비스가 잘 이루어지는지에 대한 모델
-> 보호지역을 합리적으로 관리할 수 있나
국립공원공단
-> 환경부의 산하기관
Ramsar : CEPA 프로그램
-> 물새와 습지를 보호하기 위한 협약
-> 이란, 람사르란 지역에서 협약을 맺음
-> 서울의 밤섬이 람사르 site임
-> 람사르 site를 관리하는데 있어서 cepa 프로그램에 의해서 관리를 해라
-> Communication : 소통
-> Education
-> Participation : 여러 관리 주체가 참여를 해야됨
-> Awareness : 이 습지가 가치가 있는지 인식시켜주어야 함
-> 생태계 서비스와 더불어 중요한 내용
기후 변화에 따라서 식생의 영향이 어떻게 있는지
자연적인 요인들에 의해서 주기서을 탈피함
기후가 형성되고 순화되는 과정
지구온난화
-> 인간의 활동으로인해 대기 중의 온실가스 농도가 증갛ㅁ
-> 산업혁명 이후에 후러씬 심각해짐
기억을 평가하는 지표
-> 기후 변화
-> 기업들이 나무 심는 터를 찾느라 고생이 많음
기후 변화 협약에 의해서 지구의 온도를 1.5를 높이지 않게끔. 이 일환으로 기업을 평가하는 데에도 그 지표가 들어가 있다.
'UOS > 21-1_환경생태학' 카테고리의 다른 글
환경생태학_Epilogue (0) | 2021.07.01 |
---|---|
환경생태학_W13 (0) | 2021.05.27 |
환경생태학_W11 (0) | 2021.05.20 |
환경생태학_W10 (0) | 2021.05.08 |
환경생태학_W9 (0) | 2021.04.29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