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UOS/21-1_환경생태학

환경생태학_W10

2021.05.05

09:12am

과제 : 중간고사 시험 다시 제출하고 가능한한 자세히 쓰라.

 

생물 종 마다 생존곡선이 다른 이유

-> 살아남는 전략

-> 먹이사슬 단계상 하위단계에 있는 생물은 많이 낳게 됨.

-> 올챙이 상태에서는 많은 동물의 먹이가됨.

-> 올챙이가 물에서 나올 때 거의 다 죽음. 조류, 포유류한테 다 잡아먹힘

 

총계법

-> 인구수 헤아릴 때

-> 개체 수가 작거나 범위가 작을 때 씀

-> 표본법을 쓰는 이유는 규모가 커서 시간이 많이 들어가기에 표본을 써서 시간을 단축

 

모래언덕에는 초지가 있음

-> 태안에는 사구가 많음. ex) 신두리 사구

 

밀도측정법이 중요하다고 했음

 

밀도에 따라서 질병이 생김

 

아프리카돼지열병

 

밀도가 높아지만 질병에 생길 확률이 높음

 

분산 상당히 중요함

-> 어떤 생물이 어떤 형태로든지 고유지역 안으로 또는 밖으로 이동하는 것

-> 생물이동통로or생태통로or에코브릿지랑 관련이 있음

-> 서울시에서는 녹지연결로라고 함.

-> 녹지공간이 도로로 단절이 된다면? 고립이 됨

-> 조그마한 공간에 있는 생물체들끼리 번식을 하게 됨. 근친교배

-> 열성유전자가 많아져 질병에 노출되기 쉬워짐. 멸종.

-> 이동성이 떨어지는 생물들에게 나오는 현상

-> 회귀이동에서 문제가 되는게 양서류

-> 청주에 구룡산 원흥이방죽 두꺼비

-> 개발을 해버려서 두꺼비의 이동을 막아버림. 생물이동통로를 만들어줌

 

☆도심 속에서는 생태통로를 어떻게 형성하고 있나요??

 

모든 생명체는 행동권과 세력권을 가지고 있음

-> 행동권 : 행동범위

-> 세력권 : 행동권 범위 중에서 적극적으로 방어하는 범위.

-> 생물이동 통로를 3가지 요인에 의해 만듦. ☆뭐였드라 -> 행동권, 세력권, 회귀이동!

-> 세력권이 겹치면 경쟁이 일어남

 

 

 

경쟁. 중요함

-> 먹거리와 공간에 의해 경쟁

-> 자연에서 2등은 없음

 

기생

-> 한 쪽에서 이익을 보고 다른 손쪽에서는 손해를 보는데 의존을 한다.

 

상호공생

-> 같이 산다

-> 장내 있는 이익균과 우리는 공생한다.

-> 균근(뿌리혹박테리아)이 토양으로부터 유기물을 받고 넘겨줌,

-> 균근 때문에 나무를 옮길 때 본을 뜸

 

생물군집

-> 어떤 지역이나 서식처에서 서식하고 있는 개체군의 집합체

 

군집에서 가장 중요한 것.

-> 우점종 : 가장 힘이 쎈 것

-> 이들 중에서 에너지의 유통이나 물질순환의 주동적 구실을 맡고 있는 종

-> 숫자와 부피가 주요 핵심 요소

-> 우점종이라고 함은 어떤 고차 군집에서 개체 수가 많거나 부피가 큰 종

-> 배봉산의 우점종은 상수리나무와 아까시 나무

-> 아까시 나무와 아카시아 나무는 전혀 다른 종

 

종 다양성

-> 종이 얼마만큼 다양하게 있느냐

-> 종 수가 많은 곳이 다양성이 높다

-> 왜 종 다양성이 중요한가?

-> 이 때문에 국제 협약이 만들어짐

-> 종 다양성이 높다는 것은 한 종이 사라져도 생물군집이 유지될 수 있음

-> 종 다양성이 낮으면 멸종되거나 사라질 우려가 높음

-> 종 다양성이 높으면 살아남을 확률. 즉, 지속가능성이 높아짐.

-> 열대우림 지역에 종다양성이 높음.

-> 갯벌도.

-> 하천을 따라서 육지의 유기물(영양분)이 축적이 됨.

-> 갯벌은 육상과 해상이 만나는 주연부. 엣지. 이코톤

 

우점종, 지표종

-> ☆ 무슨 관련성?

-> 군집을 명명할 때...

->

 

숲의 층위구성

-> 초본층, 관목층, 아교목층, 교목층

-> 숲의 층위는 새 종류의 다양성과 관련성이 있더라

 

추이대(=전이지역 = 이행부)

->  주연부 효과 : 종 다양도와 밀도가 높더라.

-> 주연종에서 주로 양수의 성격, 가시가 있고, 열매가 맛있다.

-> 주연종 es) 산딸기, 복분자

-> 풍천이 바다와 하천이 만나는 곳. 이 곳이 바로 추이대

 

천이

-> 생물 군집이 시간이 변하면서 변화

-> 생물이 변화하면 환경도 변화한다.

-> 천이 중에서 가장 중요한 것 극상(climax) : 최종적으로 안정된 군집

-> 우리나라 산림에 가장 극상인 나무 : 낙엽활엽수 ex) 서어나무, 까치박달, 층층나무 등

-> 우리나라에서 극상림나무가 될려면 300년 정도 걸릴꺼라고 예측하고 있음

-> 우리나라에서 300년 이상 된 숲은 오대산 비로봉 아래 상원사 바라본 숲

-> 천이와 극상 굉장히 중요하다

-> 천이발달 단계도 중요. 관목에서 양수에서 반음수에서 음수로 간다는 원리는 꼭 이해를 해야됨

 

기후극상 : 일반적으로 식생이 변하는것

토지극상 : 토심에 따라 바꿈

 

방해극상 ex) 잔디밭

-> 우리나라는 풀종류가 살아남기 어려움

-> 잔디밭 관리를 생태적으로 방해극상 관리다.

-> 대관령 목장은 인위적 아극상으로 함

 

☆숲이 300년 됐다는 것은 극상림나무가 온전하게 형성되어 300년 이상 됐다는 것인가?

-> 나이테를 뚫어보면 앎.

-> 연구실

 

우점종, 종다양성, 군집의 명명은 우점종과 지표종, 층위구조, 4개구조가 있으면 생물이 잘삼. 복분자 이야기, 추이대, 천이, 극상, 키가 작은 소나무가 있는 건 토지극상,

-> 밀도 의존, 분산 중에서도 회기 이동, 행동권&세력권, 상호작용 중에서도 경쟁 기생 상호공생, 우점종, 종 다양성, 층위형성 중에서도 숲의 층위구성, 추이대, 주연부효과, 천이, 극상, 우리나라 천이단계에서 관목에서 양수로 가고 양수에서 반음수 음수로 가는 것,

 

밀도 형성에 있어서의 사망률로.! ㅂ

 

다음 주는 생태계 조사 방법에 대해서 공부. 다음 주는 부득이하게 3시간할 수도있음

 

이한슬 양 질문

  1. 생태통로를 만들면 동물들이 어떻게 그것을 알고 이용?
  • 위치선정이 가장 중요.
  • 생물이 이동할 수 있는 가장 높은 확률의 장소
  • 물길이 가장 확률이 높음.
  • 생물이 움직일 수 있도록 유도펜스를 설치함.
  • 일부 은신처도 만들어줌

 

  1. 산정상이 추이대가 되느냐?
  • 산림정상은 추이대로 보지 않음
  • 추이대 속성을 가지고 있지 못함. 밀도가 높다든지 종 다양성이 높다든지

 

산림에서 사람이 살지 않음. 도시에서는 살고 있는데, 서식지가 집중되있거나 안 되있거나 하는 형태.

'UOS > 21-1_환경생태학' 카테고리의 다른 글

환경생태학_W13  (0) 2021.05.27
환경생태학_W11  (0) 2021.05.20
환경생태학_W9  (0) 2021.04.29
환경생태학_W8  (0) 2021.04.28
환경생태학_W7  (0) 2021.04.1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