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UOS/21-2_조경수목의 이해

조경수목의 이해_W5

210930_09:05

식물에 스트레스를 주면 열매가 많이 나옴

->☆Q.더 빨리 죽지는 않는가?

 

심을 때 잘 심어야됨

-> 복토가 되지 않도록

 

식재 가이식

 

담압

-> 물이 고여버리면 수목이 죽어버림

-> 식재 전 주변지역 1m 이상을 경운해줌

-> 토심 0.9~1.2m

 

병충해

-> 수목에 뽑힌 수관주사를 영양제인 줄 알고 먹었다가 죽은 사고가 있음

-> 수관주사는 비싼 편

 

수목도 건강하면 사람처럼 병에 잘 걸리지 않음

-> 토양상태도 좋고 심을 때도 잘 심고 양분도 잘 줘야 함

 

조경에서는 사후 관리에 큰 에너지를 주지 않음

 

복숭아유리나바은 유충단계별로 살충율이 다르다

 

수목은 살아있는 생물이다

 

인위분류와 자연분류

-> 지금은 진화, 유전적 형질로 자연 분류하고 있음

 

식물분류의 준거

-> 외부형태학, 생태학 - 인위 분류

 

식물 동정을 위한 형질

-> 꽃; 생식기의 구조; 수술과 암술의 길이; 잎의 색; 무늬; 한계 : 꽃이 피는 시간이 정해져있음

-> 잎/ 가지/ 줄기 이 세 가지를 봄

 

소철

-> 키가 큰 건 워싱턴 야자

-> 이국적인 경치를 볼 수 있음

-> 소철은 난대성 식물

-> 내한성은 약함

-> 적윤한 토양이 식물에 가장 적합함

-> 독성이 강해 병충해에 굉장히 강함

-> 먹으면 죽을 수 있음

-> 꽃의 형태가 원시적

 

종려나무

-> 남부 지방에서 일부 식재됨

-> 야자랑 비슷함

-> 대흥사

 

은행나무과

-> 1속 1종

-> 나자식물이기 때문에 침엽식물

-> 열매가 떨어지지 않는 나무는 수나무

-> 꽃이 폈을 때 암꽃인지 수꽃인지 보면 됨

-> 완충녹재로 쓰는 경우가 많음

-> 낙엽이 짐.

-> 국내 가로수의 30~40프로는 은행나무

 

소나무과

-> 침엽의 잎

-> 2~5개의 잎이 속생(Pinus 속)

-> 20~40개의 잎(Larix, Cedrus 속)

-> 선형의 잎

-> 열매가 아래를 향해 달림(Picea 속)

-> 열매가 위를 향해 달림(Abies 속)

 

독일가문비나무

-> 원추형

-> 내공해성에 매우 약함

-> 짙은 수관인 게 특징인데 환경 문제를 겪으면 잎이 누리끼리해짐

->  환경에 있어서 지표 식물임

-> 전정할 필요 없음

-> 병충해는 비교적 강한 편

-> 독립수로 사용 가능

-> 초기에는 원추형, 나중에 가지가 축축 처짐, 가지 밑으로 잎이 처짐

 

일본잎갈나무

-> 줄기가 직관성

-> 수형은 원추형

-> 단풍도 인상적

-> 제한적으로 공원 내에 적용하면 좋을 것

 

개잎갈나무

-> 잎을 감 : 낙엽이 지고 잎이 새롭게 남

-> 가짜 잎갈나무

-> 개잎갈나무는 상록성, 잎갈나무는 낙엽성

-> 내한성이 약한 편에 속함

-> 생장속도는 빠름

-> 내공해성이 나쁘지 않기 때문에 가로수로 식재

-> 박정희가 개잎갈나무를 좋아해서 관공서에 많이 심었음

-> 담압에 약함

-> 독립수로 식재하기도 함

 

소나무

-> 조형 소나무가 비싸게 거래됨

-> 소나무가 십장생 중 하나

-> 문화적으로 가장 친숙한 나무 중 하나

-> 육송은 수피가 고기덩어리처럼 붉음

-> 적송은 수피가 붉음

-> 3마디까지만 잎을 달고 있음

-> 양수 중에서도 아주 극양수

-> 병충해에 굉장히 약함

-> 솔잎흑파리 때문에 소나무 비율이 크게 준 적이 있음

-> 가로수로는 지양해야됨

-> 경북지형 소나무는 구불구불함

-> 심근성이지만, 토심이 없어도 충분히 광합성을 함

-> 극양수이기 때문에 자기만 잘 살아야됨

-> 탁암작용이 있음; 편백, 화백은 심해서 하부 식재가 거의 없음

-> 우리나라 대부분 산성 토양

-> 암반사이에 토양기반만 있어도 싹이 자랄 수 있음

-> 소나무는 극양수이기 때문에 self cutting을 함, 집단을 이룰 때 아래쪽의 가지를 떨굼, 높은 지하고가 형성

 

반송

-> 품종; 유전적으로 안정성이 없음        

-> 높게 자랄 수도 있음; 15m ~20m

 

백송

-> 수피가 백색으로 박편처럼 벗겨짐

-> 생장속도가 매우느림

 

곰솔(해송, 흑송)

-> 곰은 검은 것을 뜻함

-> 수피가 검은색

-> 다른 소나무과에 비해서 내염성이 강함

-> 주로 해안가에 심어짐

-> 곰솔가 소나무의 중복된 형질을 가지고 있는 나무, 중곰솔

-> 잎이 혁질; 단단함

-> 질감이 거침

 

잣나무

-> koraiensis; 한국에서 발견

-> 더운 곳에서 살면 살기 힘들어함

 

섬잣나무

-> 우리가 일반적으로 식재하는 섬잣나무는 일본산

 

스트로브잣나무

-> 초기에는 줄기의 색이 회색이었다가 검은색으로 됨

 

전국에 분포

-> 자생해서 분포

 

전국에 식재

-> 조경 조성 공간에만 있음

 

천근성 : 수평근 발달

심근성 : 수직근 발달

 

pH 농도가 5.5에서 7.0 사이에 잘 자람 (중성, 약산성)

 

시비는 비료

 

=

 

'UOS > 21-2_조경수목의 이해' 카테고리의 다른 글

조경수목의 이해_W7  (0) 2021.10.15
조경수목의 이해_W6  (0) 2021.10.09
조경수목의 이해_W4  (0) 2021.10.09
조경수목의 이해_W3  (0) 2021.09.16
조경수목의 이해_W2  (0) 2021.09.0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