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UOS/21-2_조경수목의 이해

조경수목의 이해_W3

210916_09:07

10회 찍는 과제는 같은 각도에서 똑같이 찍어야 됨

 

쌍자엽식물 단자엽식물은 목본을 위주로 구분할 것

 

식물은 변화함에 따라 경관 연출이 달라짐

 

☆식물을 식재할 때 좋은 토양을 만들기 위해 어떻게 신경쓰는가?

->표토 보존

->토양계량제

->충분한 양분 공급

->지속가능성이 좀 더 우선시 하다보니 저러한 구비요건이 있었음

 

기후대 말씀을 하심

-> 대체로 연평균 온도를 먼저 따짐

-> 사실 식물의 분포를 고민할 때 온량지수와 한랭지수를 따짐

-> 기후 변화에 의해서 평균 온도가 상승 중

 

재배 품종

-> 인위적으로 육성

 

식물의 기관과 조직계

 

피자식물의 잎

->가을에 엽록소가 죽으면 단풍이 듬

-> 효율적인 책상구조

-> 증산작용이 활발하다는 것은 광합성, 수분 흡수 등이 빠름; 생장도 빠름 ex) 버드나무

 

나자식물의 잎

-> 침엽수의 잎

-> 앞뒷면의 구분이 거의 없음

-> 물관부가 파이프 형태로 되어있지 않음

-> ☆파이프 형태가 뭐길래?

-> 가도관 : 관은 관인데 두꺼운 세포벽은 아님

 

줄기

-> 수간 : 뿌리에서 나오는 줄기; 관목은 수간이 어려개

-> 수관 : 잎을 달고 있는 부위

-> 보통은 물관이 안 쪽, 체관이 바깥 쪽

 

수고생장

-> 줄기 끝에서 세포분열을 하면서 커지게 함

-> 정아 : 맨 말단 부분

-> 측아 : 가지 형성

 

고정생장/유한생장

-> 침엽수

-> 삼각형

-> 고정생장 : 전 해에 눈을 만들어놓음 ex) 마디 형태로 자라는 수목, 침엽수

 

자유생장/무한생장

-> 정아가 죽고 측아가 다시 정아를 대신

-> 대부분의 활엽수

-> 구불구불하게 자람(무한생장의 특성 때문)

 

소나무는 잠아or 맥아가 없기 때문에 줄기를 잘라버리면 죽음

 

줄기의 직경생장

-> 바깥쪽에 내부쪽은 세포분열하는 속도가 다름

-> 형성층은 수목의 가장 바깥쪽에 있음

-> 참나무와 같은 경우는 물관을 도려내여 나무를 죽임

 

수피

-> 체관부와 표피조직으로 구성

-> 코르크 형성이 잘 발달한 경우에는 폭신폭신한 조직들이 형성됨

-> 피목; 껍질에 있는 눈; 가스교환을 목적

 

원뿌리

-> 주근계는 큰 뿌리와 작은 뿌리고 되어있음

-> 수평근/수직근/세근/개척근은 알아두어야함

-> 수분과 양분 흡수를 위해서는 세근이 역할을 맡음

-> 3년 정도 지나면 세근은 죽음

-> 측근이 세근에 포함

-> 생장 관점에서는 세근이 제일 중요

-> 세근은 지면과 가까운 곳에서 있는게 유리 for)통기성, 가스 교환을 위함

-> 표토 : 세근이 자라는 토양의 범위

-> 심근성 수목은 직근이 발달

-> 천근성 수목은 측근이 발달; 뿌리가 깊게 들어가지 않음

-> 뿌리의 범위는 수관의 폭 정도까지는 펼쳐감

-> 단근 작업; 뿌리 노출; 미리 단근 작업을 해놓으면 옮겨 심기 전에 세근 발달; 이식 성공률 up

 

상록수

-> 낙엽이 안 생김

-> 4계절 내내 푸름

 

은행나무도 침엽수로 구분

 

구근 식물들이 다년초

 

수형

-> 활엽수는 원형이나 원정형이 대부분

 

수간

-> 곧은줄기

-> 총상줄기

-> 용버들나무; 꾸불꾸불한 나무

 

단옆

-> 탁엽을 잘 기억해뒀음 좋겠음

-> 거치(잎의 톱니 부분)

 

오출엽(=장상복엽)

-> ex) 마로니에, 칠엽수

-> 날개 모양

 

우상복엽

-> ex) 아까시나무

-> 하나하나가 소엽

 

Q. 단엽인지 복엽인지 어떻게 알까?

 

단신복엽

-> ex) 귤나무

 

잎의 모양

-> 심장형/ 신장형/ 광타원형/ 타원형/ 피침형/ 주걱형/ 도란형/정상엽형/ 선형 구분할 줄 알아야함

 

★잎차례

-> 어긋나기, 마주나기를 잘 기억해야됨

-> 어긋나기(호생)

-> 마주나기(대생)

-> 잎이 호생하는 나무는 가지도 호생

-> 잎이 대생하는 나무는 가지도 대생

-> 과 특성상 대생하는 나무들이 있음 ex) 단풍나무, 물푸레나무, 수국과 등등

-> 대생인지 호생인지, 복엽인지 아닌지, 교목인지 아닌지 소거법 형태로 도감을 찾을 수 있음

-> 대생인지 아닌지를 가장 먼저 봄

 

거치

-> 파상이냐, 톱니 모양이냐, 바늘 모양인지만 구분할 수 있으면 됨

-> 잎이 파들어가는 것을 결각이라고 함 ex) 단풍나무, 산사나무, 대왕참나무

-> 거치가 없는 나무도 있음

 

입끝 모양

-> 전첨두, 평두, 요두는 구분해서 알아두길

-> 평두 ex) 백합나무

-> 요두 ex) 참싸리 <-> 조록싸리는 잎이 뽀죡

 

잎밑 모양

-> 이저 : 귓볼모양

-> 왜저 : 비대칭 ex)누릎나무과

-> 순저 : 둔탁한 모양

 

잎맥 모양

-> 평행맥 ex) 외떡잎 식물들(대나무)

-> 만곡평행맥 ex)산딸나무, 층층나무과

-> 삼륵맥(=삼추맥) : 주맥이 3개 나옴 ex)대추나무

-> 연주맥 ex) 자작나무

-> 평행맥 제외하고 3가지는 잘 기억해두기 바람

 

-> 꽃을 가지고 해부학적으로 구분

-> 완전화/ 불완전화

 

꽃차례

->총상꽃차례/산방꽃차례/산형꽃차례/원추꽃아례/미상꽃차례

 

열매

-> 버드나무 종자 때문에 알러지가 생긴 것은 거짓말

-> 시과 ex) 단풍나무, 누릎나무과

-> 수과 ex) 민들레

-> 견과

-> 협과 ex)콩

-> 이과 ex) 감나무

 

조경수목의 규격

-> 수목의 직경은 근원직경(R)을 기준으로 함

-> 수고(H) : 나무의 높이

-> 수고 - 지하고 = 수관고

-> 잎을 달고 있는 범위를 수관이라고 하기 때문에 밑에서 잎을 달고 있는 높이까지 지하고로 측정

 

 

 

 

 

'UOS > 21-2_조경수목의 이해' 카테고리의 다른 글

조경수목의 이해_W6  (0) 2021.10.09
조경수목의 이해_W5  (0) 2021.10.09
조경수목의 이해_W4  (0) 2021.10.09
조경수목의 이해_W2  (0) 2021.09.09
조경수목의 이해_W1  (0) 2021.09.0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