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10909_09:07
시험은 오픈북이 아님
기말 과제
-> 초본보다 목본이 우선
-> 초본은 15종 이하
-> 교내 수목의 위치 확인을 할 수 있음
-> 정 궁금한 사람들은 메일을 보내면 피드백 가능
-> 식물원과 수목원 도감은 지양해주기 바람
-> 미리미리 작업을 하면 크게 부담이 없을 것
-> 부담스러운 양
수시과제1
-> 단풍(활엽수)의 변화상을 기록
-> 교목, 관목 상관없음
-> 장소, 수종 선정 이유를 밝혀야함
-> 기상센터 온도를 사용해도 좋음
-> 양식, 분량은 제한이 없음
수시과제2 - 독후감 작성
-> 3권 중 한 권은 중간고사 때 제출
-> 분량 제한 좋음
-> 생각이 충분히 투영될 수 있도록
-> 글을 쓸 때는 문법에 맞게 써야됨
-> 문어체를 잘 쓸려고 책을 많이 읽어봐야됨
-> 사진을 넣어도 됨(출처 필수)
총론은 6개 장으로 구성
식물의 분류체계
-> 종속과목강문계
-> 계를 총괄하면 생태계
-> Spcecise < Genus < Family < Order < Class < Division < Kingdom
-> 피자식물문 : 종자가 과육에 쌓여있는 형태로 맺혀있음. 대부분 꽃을 핌
-> 나자식물문 : 열매가 밖으로 노출되어있음
-> 양치식물문/ 속새식물문/ 선태식물문
-> 관속식물 ; 물관과 체관을 가지고 있음
-> 쌍자엽식물강; 목본이 많음; 원뿌리(주근계)
-> 단자엽식물관; 초본이 많음; 수염뿌리(수근계) ex)대나무, 벼, 옥수수
-> 은행나무깅; 1속 1종; 최고의 나무(가장 오래된 식물); 화석식물; 운동성이 있는 정자가 형성; 꽃가루가 움직이는 특성을 가지고 있음
-> 소철강; 야자수랑 비슷한 형태;
-> 소나무강; 침엽수
-> 식물은 분류학에 의해서 분류됨
-> 종단위보다는 과나 속단위로 분류하는 게 좋을 것
-> 속 or 과 단위로 특성을 이해할 것
-> 도감을 자주 보세요
-> 식물명에 익숙해지는 게 필요
-> 과제를 하다보면 도감을 볼 수 밖에 없음
조경식물의 범위
-> 자생종과 외래종을 정확히 알고 있는 게 필요
-> 자생종; 그 지역의 토착식물
-> 외래종; 외부에서 누군가 들여온 식물
-> 외래종 중에 마치 자생종마냥 사는 것을 귀화종이라 함
-> 자생종은 지역 or 환경 단위로 이야기하는 게 맞음
-> 평소 자생종을 국가 단위로 이야기하는 경우가 많음
-> 734분류군 중에 200종에 조경용으로 생산 및 이용됨
-> RHS : 영국왕립원예학회
구성비
-> 교목보다는 관목을 잘 쓰는 게 중요
-> 사람의 눈높이에 맞기 때문
-> 관목 < 소교목 < 교목(크기에 따라)
-> 상록교목 : 잎이 떨어지지 않는 나무; 상록활엽도 여기에 포함됨
-> 대체로 관목이 더 많다
-> 낙엽이 지는 것이 더 많다
-> 침엽수 이 4%를 알고 있으면 구분하는 게 쉬울 것
조경식물
-> 조경은 경관을 만드는 학문
-> 미적 특성이 매우 중요
-> 조경 식물학은 분류학이 아님
-> 분류학을 근거로 어떻게 활용하는지 고민
-> 시간이 갈수록 가치와 형태가 변화한다
-> 이런 부분을 간과했을 때 대가를 치뤄야함
-> 근린공원은 법적으로 60%의 식재를 심어야됨
-> 처음 만드는 단계에서부터 식재를 잘 알아야된다
조경식물의 구비요건
-> 관상가치가 높은 것
-> 적응성이 높은 식물
-> 내성이 강한 식물
-> 이식했을 때 잘 살 수 있는 식물
-> ☆원예종이 단일화되는 건 아닌가? 결국 돈 때문에?...
기후요인과 식물
-> 이런 식물들이 어떤 공간에서 잘 살아남는가에 대한 특성을 이해할 필요가 있음
-> 탁타아쟌's 식물지리도 : 광범위한 식물 분포도
-> 수직, 수평분포가 별개로 존재하는 것이 아님
-> 같은 위도라하더라도 동쪽으로 갈수록 위로 올라감
온량지수(WI), 한랭지수(CI)
-> 기후대가 다른 수목을 다른 기후대에 심으면 외래종일 수 있다.
보통명 : 한지방에서만 통용될 수 있는 이름
-> 눈주목; 누워있다
-> 생강나무; 생강이랑 비슷(?)
-> 향나무; 향이 좋음
-> 외래어 자체를 쓰는 경우도 있음
학명 : 전세계적으로 사용하는 식물의 이름
-> 이명법에 의해 인류를 호모 사피엔스라 칭함
-> 속명(generic name), 종명(specoes name) - 이명법(binomials)
-> 분류체계가 달라져도 학명은 똑같음
변종(Variety, var.)
-> 아예 다른 종으로 분류하기에는 유사성이 있음
-> 어떤 부분이 다른가 설명하는 형식
-> 유전적 형질이 안정화되며 고착화됨
-> 서로 다른 특성들이 지속적으로 다음 생에 발현이 됨
품종(forma, for.)
-> 변종으로 구분하기에는 특성이 명확하지 않다
-> ex) 주확색 제비꽃을 다시 심었더니 주황색or보라색으로 나옴. 주황색으로만 나온다면 변종이라고 함
-> 후대 유전적 안정성이 낮음. 그럼에도 원종과는 차이가 있음
-> 원예품종은 품종(forma)가 아니라 재배품종을 말하는 것임
-> 자연에서 발현되는 경우
-> ex) 생태형_금강소나무
재배품종(cultiva, cv.)
-> 유전적 형질이 몇 년간 이어져야됨
식물명명의 기본원칙
-> 선취권; 먼저 지은 사람이 임자
-> 학명은 라틴어로 표현
-> 라틴어는 죽은 문자여서 변화하지 않음
-> 보통명은 국가표준식물목록에서 제시를 함
-> 보통명과 학명을 같이 문서에 기재하는 게 의미가 있음
성상별 분류
-> 교목(tree), 관목(shrub), 만경목(덩쿨식물, climber) 및 초본(herbaceous)를 포함한 지피식물(groundcover plant)
-> 초본하고 목본을 구분하는 것도 필요
-> 겨울철에 지상부가 다 죽느냐 아니냐로 구분.
-> 초본은 겨울에 죽음
-> 초본 식물은 다년생이라고해서 길게 사는 건 아니다.
-> 교목도 관목일 때가 있음
-> 교목성 나무는 원줄기가 하나
-> 과목은 뿌리에서부터 여러 개의 줄기가 올라옴
녹음용(Shade tree)
-> 최소한 2m 이상을 형성할 수 있는 나무
-> 위로만 높게 자라는 것보다는 펑퍼짐한 게 좋음
-> 담압에 견딜 수 있어야함
-> 담압을 하면 뿌리의 통기성이 떨어져서 피해를 끼칠 수 있음
경관용
-> 반송; 수형이 예쁜 소나무임
생울타리(수벽)/차폐용
-> 가지를 잘 짤라줘야 됨&가지가 잘 자람
-> 식물의 질감이 좋아야함 ex)향나무, 주목나무
방풍용 : 방품수림대(shelter belt)에 조성
-> 바람이 쎈 해안가에 주로 심음
-> 풍수적으로 봤을 때 과한 기운을 줄여줌; '비고'라고 함 ex)서울 4대문에 적용됨
-> 비고림 => 방풍효과
-> 기본적으로 뿌리가 깊게 자라고 치밀함
-> 소나무는 가지가 굉장히 약함. 바람이 심하게 불 때는 부러짐
방조/임해매립지용
-> 봄솔; 해안가에서 자생을 해서 내염성이 좋음
->
!. 기말과제) 포켓몬 전국 도감 참고, 수기 도감만드는 건 어떤지
'UOS > 21-2_조경수목의 이해' 카테고리의 다른 글
조경수목의 이해_W6 (0) | 2021.10.09 |
---|---|
조경수목의 이해_W5 (0) | 2021.10.09 |
조경수목의 이해_W4 (0) | 2021.10.09 |
조경수목의 이해_W3 (0) | 2021.09.16 |
조경수목의 이해_W1 (0) | 2021.09.02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