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UOS/21-2_공원 스튜디오

공원 스튜디오_W2

210909_13:02
공원그리기 과제
-> pdf로 변환시켜서 웹하드에 올리면 됨

2018년에 어린이대공원 입장객이 줄어둘음
-> 백화점, 키즈카페들이 생김
-> 공원에서 할만한 것들이 새로 생겼음

공원 수요
-> 표출 수요 : 실제 시간을 소비하는 의사가 있는 수요
-> 유도 수요 : 미디어 등에 의해 유도된 수요
-> 잠재 수요

토지 이용 계획
-> 공원의 서비스를 어떻게 할 것인가

기존 공원을 사람들이 어떻게 이용하는지 볼 필요가 있다

공간 프로그램을 상호작용을 분석하고 토지이용 강도를 설정

Geodesign
-> 현황모형/ 과정모형/ 평가모형/ 변화모형/ 영향모형/ 결정모형
-> 종합적으로 의견을 모을 수 있는 방식

빅데이터
-> 공공데이터/ 모바일 데이터/ 소셜 데이터
-> 어떻게 공원을 이용할 수 없을까?
-> 데이터로 주제도를 형성할 수 있음


빅데이터 분석 사이트
->http://www.socialmetrics.co.kr/login

리뷰플러스

리뷰플러스

www.socialmetrics.co.kr


->https://some.co.kr/

썸트렌드(Sometrend)

썸트렌드(Sometrend) - 사람들의 생각이 궁금할 때

some.co.kr


빅데이터를 통해 공원에 대한 생각을 읽고 있다.

수요라는 게 사람들의 생각을 읽어내는 것

☆공원은 공공성을 가지고 있기에 개성보다는 대중적으로 사람들의 요구를 수용할 수 있는 장소라고 생각합니다. 그렇기 때문에 사람들의 선호도나 기호를 아는 것이 중요하다고 느껴졌고, 빅데이터 기반으로 공원을 형성하는 것도 필요하다고 느꼈습니다. 그런데 그렇다면 대다수의 입장을 따르기 쉬울텐데, 그 과정에서 복합적인 결정 과정이 필요하다고 느낍니다.
-> 결국 그 환경에 대한 우선순위와 디자이너의 결정이 필요하다

공원에 관련한 조사를 하는 데에 있어서 교수님이 쓰신 설문조사 질문을 그대로 이용해도 좋다.

설문결과 검정도 제대로 해야됨
-> T검정/ ANOVA

장기 시나리오 기법
-> What if 기획

답사
-> 신트리공원/오목공원/목마공원
-> 공원 내 프로그램
-> 시설물이 이용자들을 고려한 것인지
-> edge condition 고려
-> 안양천과의 거리
-> 이용자 행태
-> 시설물 규모

'UOS > 21-2_공원 스튜디오' 카테고리의 다른 글

공원 스튜디오_W6  (0) 2021.10.09
공원 스튜디오_W5  (0) 2021.10.09
공원 스튜디오_W4  (0) 2021.10.09
공원 스튜디오_W3  (0) 2021.09.16
공원 스튜디오_W1  (0) 2021.09.0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