UOS 썸네일형 리스트형 운동수기요법_W8 211029_16:32 어깨 코어 근육 -> 소원근 -> 극하근 -> 극상근 소원근 -> 견갑골의 외회전 담당 극하근 -> 평가 방법 : 견관절 외회전이 잘되는지와 잘 버티는 지 확인 -> 소원근하고 대체로 같이 풀어줌 Tip -> 손가락같이 좁은 면적으로 마사지하다가도 넓은 면적으로 마사지할 수 있음 -> 부상에 이유가 다 있음. 과거력을 묻는 게 중요 -> 아시(=아프면서 시원하다) 어깨는 흉추와 견갑골의 내,외회전이랑 관련 있음 극상근 -> 만지기가 어려움 -> 손가락을 넣고 밀어올리면 승모근을 치워내고 다시 눌러줌 -> 어깨가 소리 나면 극상근과 관련 있음 견갑하근 -> 평가방법 : 누워서 견관절이 내회전시킨 자세가 잘 되는 지 확인 -> 흉근, 겨드랑이 쪽을 먼저 풀어주고 견갑하근을 마사지하는 .. 더보기 운동수기요법_W7 211029_16:03 ☆뒤늦게 쓰는 중간고사 후기!... 솔직히 공부를 제대로 하고 시험을 치룬 건 아니다. 시험 방식은 경추와 흉추와 관련된 근육 부위에 대해 설명하고 직접 실습을 할 수 있는 지 확인하는 방식이다. 같이 수업을 듣는 친구와 시험 1주일 전에 간단하게 연습해본 거 빼고는 시험 당일이 되서야 공부에 들어갔다. 2시에 시험 보는 줄 알고 넉넉할 거라고 생각했지만, 큰 오산이었다. 1시 쯤에 마무리 정리를 하고 있었을 때, 갑자기 공부하던 펜이 터져서 손이 까맣게 물들어버렸던 사고가 있었다. 그러다 어쩌다보니 핸드폰을 보게 되었고, 덕분에 수강 시간표를 들여다보았는데, 이를 어쩌나... 수업 시간이 본래에 1시였던 것. 다급하게 교실에 갔는데, 정말 다행히도 내 차례가 맨 마지막이라서 늦게.. 더보기 공원 스튜디오_W7 1. 공원의 무늬 구조 -> 창의적 컨셉 만큼 분석도 중요하다 -> 프로그램의 비율, 입구의 위치 등 기본적 골자를 정해놓으면 편하다. 2. 퍼머컬쳐의 위험성 -> 디자인적 촌스러움 -> 농업적 시스템을 공원에서 어떻게 구현할 수 있는지. 퍼머컬쳐 시스템에서 기반한 디자인이어야 할 것이다.** -> 텃밭간의 유기성을 키워서 퍼머컬쳐 철학이 관통된 디자인을 계획해라. 3. 주출입구 설정의 근거 -> 주 출입구의 근거가 되는 유동인구의 현황을 보여줘야함 -> 입구 변화가 보이는 다이어그램을 보여줘야하마 4. 공원의 트랙 무늬 -> 양 끝의 무늬가 연결되어있어 순환성을 강화 -> 더 머물 수 있는 공간의 느낌으로 5. 퍼머넌트컬쳐 -> ‘퍼머넌트’의 정신을 다른 요소와 연결지어 퍼머컬쳐 통일성을 높이기 6. .. 더보기 조경수목의 이해_W7 211014_23:42 은행나무 -> 암, 수 구분이 어려움 -> 생식 연령이 되어야 성별을 구별할 수 있음 -> 직관성이 좋은 편 -> 원추형이 잘 잡힘 -> 대기 오염, 병충해에는 강해서 관리가 쉬움 리기다 소나무 -> 맹아; 수관에 잎이 달려있음 -> 외래종 -> 소나무보다 직관성이 좋은 편 -> 잎이 3개 -> 맹아가 달려있어 '양키 소나무'라고 불리움 튤립나무 -> 백합나무 -> 부피가 큼 -> 빨리 자람 -> 잎이 특이함 가이즈까 향나무 -> 연녹색 -> 열기에 비교적 강함 -> 일본 원산; 전통 공간에는 안 심음 -> 인엽 향나무 -> 진녹색 -> 침엽 벚나무 -> 꽃과 잎이 같이 나옴 왕벚나무 -> 꽃이 먼저 나옴 측백나무 -> 잎이 서 있음 -> 잎의 앞, 뒷면 둘 다 엽록소가 있음 ->.. 더보기 동양조경문화론_W6 211013_24:19 창랑정 -> 창랑은 맑은 물에 머리를 씻고 라는 뜻에서 유래됨 -> 회랑이 동선, 공간 구획, 심미적 특징을 가짐 -> 중국은 양식에 따라 중국을 설명하진 않는다. 계리궁 -> 회유식 정원 -> 일본은 어떠한 양식에 따라 정원을 설명 -> 식재를 인위적으로 전정하는 것이 일본의 특징 -> 관리를 중요시여김을 알 수 있음 예원 -> 구곡교 : 9번 꺾여 있는 다리 -> 물이 중요한 요소 -> 점입가경 : 가면 갈수록 경치가 더해지는 곳 -> 상해에 있음 -> 부지가 굉장히 넓고 김 -> 담장으로 여러 개로 구획되어 있음 -> 새로운 공간들을 경험할 수 있도록 구성되어 있음 -> 남방 정원의 특징은 지붕이 엄청 뾰족함 -> 누창이 기대감을 줌 -> 태호석 평등원 -> 불교 사상을 반영.. 더보기 조경재료 및 시공_W5 211012_09:13 전국 조경학과의 20%가 산림청으로 감 국립산립과학원 -> 도시숲연구과 국립수목원 -> 정원연구센터 목재 자급이라는 목적 아래 숲을 훼손하는 경우가 있음 ☆전혀 모르는 게 무슨 잘못이라는 것처럼 말씀하시는 게 굉장히 심기가 불편하다. 우리가 무엇을 지향하는 지 잘 모르겠음 단단한 나무는 대부분 낙엽활엽수 -> 세포벽이 두꺼움 -> 가공이 어려워 마감재, 창호재, 가구재로 사용 -> 나무 가격도 비쌈 -> 중요 무른 나무는 상롭칠엽수 -> 목질이 가늘고 긴 섬유 세포로 되어 있어 구조재를 얻기 좋음 -> 사대적으로 가공이 용이 -> 중요 통나무 -> 수피 제거 조각재 -> 거칠가 마감한 각재 제재목 -> 판재와 각재의 구분을 명확하게 해야됨 -> 판재는 두께 75mm미만이고 나비가 .. 더보기 동양조경문화론_W5 21006_14:03 나중에는 고산수정원에 이끼밖에 사용하지 않았다 -> 추상적이고 축약적임 천수각 -> 위세당당함을 보여줌 -> 이런 흐름 안에서 정원 발달이 어떻게 이루워졌는지 히메지성 -> 성곽& 물 -> 성에서 마을을 다 볼 수 있음 서원조 -> 무과의 과시 -> 정원도 상하개념을 가져옴 -> 전경과 원경이 발생 다도를 위한 다정 -> 귀족으로부터 유행 시작 -> 천리휴; 스님같이 생김; "차를 마시는 것은 선이야" -> 선종 정원에서 취했던 것을 ~ -> 초암풍 -> 귀족의차 문화를 바꿔버렸던 게 천리휴 -> 차를 마시는 여정이 정원 -> 산 속의 암좌 -> ☆종교적인 영향이 있을까? 예를 들면 선종과 같이 -> 야취(야생에서의 정취); 자연 속에서 느끼는 감정 -> 로지; 산골 정서; 걸어가면.. 더보기 동양조경문화론_W4 210929_14:01 일본에는 고대, 중세, 근세로 구분 -> 중국은 중세를 구분하지 않음 -> 우리나라에서 중세를 구분한다면 '고려' 오늘 언급할 시대는 고대와 중세 문명 -> 사람들이 모여 살면서 지혜롭고 발달된 문화 -> 왕조가 수도로 취한 곳에서 문화가 발달 -> 조경도 마찬가지 일본 수도 -> 아스카, 나라, 헤이안(무로마찌, 교토) -> 수도가 수직적으로 위로 이동했음 -> 교토를 방문하는 게 전통 정원을 볼 수 있음 -> 도쿄는 현대 정원 -> 중세 수도는 가마꾸라와 무로마찌 제례(제사) 목적의 경관요소 2가지 -> 1. 신지 2. 암좌 -> '신'은 연못 -> '암'은 바위 -> 신지와 암좌는 원시시대 개념 돌을 놓는 것 -> 석조 -> 석조는 배치하는 것을 이야기 -> 중국의 태호석은 .. 더보기 이전 1 2 3 4 5 6 7 8 ··· 18 다음 목록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