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UOS

공원 스튜디오_W10 211105_01:18 ☆이번 주는 저번 주 교수님께서 집어주었던 부분을 단순 보완하는 수준으로 나아가보았다. 그에 따라 간단하게 만들어본 라이노 모델링..! 아직은 보잘 것 없지만, 끝내 창대하리라 생각한다. 본격적으로 설계 작업 들어가면 끝장을 볼테다...ㅋㅋㅋ 주말에 답사 잘 다녀오면 모델링 해보려고 한다. 오늘 수업이 끝나고도 교수님이 해주신 피드백을 바탕으로 회의를 진행해보았고, 공간 구조에 꽤나 큰 변화가 있었다. 그리고 이번 주에 평면도 완성과 3D 모델링을 향하여 달려가보려고 한다. 아마 이렇게 기말 시험기간 때까지 시험기간 처럼 살 것 같다. 재밌는 인생~ 더보기
조경수목의 이해_W10 211105_12:38 개쉬땅나무 마가목 -> 거치 -> 복엽 빙돌 -> 꽃말발들(?) -> 겨드랑이에 흰색 꽃이 핌 -> 대생 -> 쥐똥나무는 측맹이 잘 보이지 않음; 거치가 없음; 가지끝에 남 -> * 만첩빙돌이 라일락 덜꿩나무 -> 잎이 작음 -> 잎이 특이함 가막살나무 -> 잎이 큼 -> 잎과 가지에 털이 있음 -> 잎의 폭이 좁게 나옴 앵도나무 -> 관목선상에 왕벚나무랑 비슷하게 자람 -> 잎보다 꽃이 먼저진다 -> 장미과에 ~~수가 병충해(복숭아유리나방)에 약함 진달래 -> 거치 X -> 측맥이 잘 안보임 -> 산에 가면 흔함 -> 영사농이 더 예뻐서 잘 안심음 -> 진달래가 영사농보다 꽃의 밀도가 더 적음 두충나무 -> 약재로 씀 -> 잎을 말려서 차로 씀 -> 잎에 점액이 있음 등나무 ->.. 더보기
조경수목의 이해_W9 211031_01:04 일본목련 -> 외래종 -> 잎이 나오기 꽃이 나옴 -> 1960년 정도에 일본에서 옴 -> 잎 끝이 뾰족, 목련과에서 잎이 가장 금 -> 장점 : 꽃이 늦게 핌. 잎이 다나고 '초여름'에 핌. 향기는 좋음 -> 단점 : 크기가 큼. 가지 끝에 꽃이 자라서 잎에 가려 안 보임 -> 말단부 가지가 두꺼움(잎이 커서) -> 잎이 복엽이다(그냥 목련은 복엽 X) -> 가지가 불규칙적으로 구불구불 퍼짐 => 좋은 수형은 아님 -> 겨울눈이 자람(이것이 클수록 잎도 가지도 나무도 큼) -> 새들이 먹고 배설하는 과정으로 번식함 -> 일본 목련보다 백목련을 많이 씀 화백 -> 온대남부 마가목 -> 열매 독특 -> 복엽 -> 1회 기수 우상복엽 -> 가지 두께가 두껍다 -> 거치 날카롭 -> 소.. 더보기
조경수목의 이해_W8 211031_12:49 ☆시험은 크게 어렵지 않았다. 이 과목에 대한 애정에 비해서 나의 공부 강도가 많이 부족했던 것이 정말로 많이 아쉽다. 미리 좀 공부했더라면 눈에 띄는 성과를 얻으며 지식의 확장을 일궈낼 수 있었을텐데. 내가 제일 애정을 가지는 작업은 '도감 만들기'다. 현재 조경학과 대학원생분과 협업플레이를 하고 있는데 이 작업이 정말 기대가 된다. 컨셉은 시립대학교 나무 도감이다. 식상한 주제일지 모르겠지만, 캠퍼스 내부의 지리적 위치(거리, 건물)별로 수목을 분류해보기로 하는 점에서 의미가 있다. 시립대학교에 특성화된 도감이라고 할 수 있다. 위치별로 분류를 하려면 캠퍼스 내부의 수목들의 위치를 속속들이 다 알고 있어야 된다. 그러니 돌아다닐 일도, 공부할 일도 많다. 현재는 낙엽이 지는 시.. 더보기
공원 스튜디오_W9 211029_18:20 ☆저번 발표 피드백에서 '웅장함'에 대해 많이 논해주셔서 대자연을 중점적으로 고민해본 스토리를 풀어보려고 한다. 처음엔 나뭇결을 입체적으로 생각해보려고 자료들을 찾아보았다. 2d 패턴부터 3d패턴까지. 그리고 더 나아가 '협곡'의 이미지를 생각해보았다. 특히 그랜드 캐년... 결이 가지고 있는 형태적 특성에다가 자연의 거대함을 체험할 수 있는 관점에서 좋은 소재라고 생각했고, 이를 팀원들과 공유했다. 그 과정에서 내가 예전에 관심있게 봐았던 프로젝트가 떠올랐다. http://www.heatherwick.com/projects/spaces/al-fayah-park/ Heatherwick Studio | Design & Architecture | Al Fayah Park Client .. 더보기
공원 스튜디오_W8 211021_13:54 1. 안녕하세요 공원설계 프로젝트 중간발표 맡은 홍지민입니다. 2. 우리는 본능적으로 자연과 생명에 이끌립니다. 광할하게 펼쳐진 산수경관을 앞에서 가슴이 벅차오르고 3. 북극 밤하늘의 찬란한 오라를 보며 경이를 느끼는 것은 자연스러운 일입니다. 4. 어린 아이들은 강아지나 새와 같은 작은 동물들에게 애정을 느끼고, 어른들은 지친 심신을 위로 받기 위해 산과 바다를 찾아 떠납니다. 5. '2025 미래 주거 트렌드 보고서'에 따른 주거 선택 요인의 변화를 엿보자면, 자연이 주는 쾌적성에 대한 선호도가 35%로 높았습니다. 이는 현대 사람들은 편의 시설이 발달한 곳보다 자연친화적 입지의 가치를 높이 생각함을 알 수 있습니다. 6. 저명한 생물학자 에드워드 윌슨은 이러한 인간 본성을 '.. 더보기
동양조경문화론_W8 211029_17:27 ☆과거의 실수를 반복하지 않기 위해 수업 전 미리 예습을 했다. 단순히 재미로 한국의 역사에 대해서 쑥 훑어보는 것. 직접적인 관련은 없더라도 항상 연관시켜서 이해하려는 내 특성상 도움이 많이 될 거라고 생각했다. https://www.youtube.com/watch?v=SSzYCXkd_RQ&list=PLcSLknlk2bma4ywfYiajD-qfTjRftTbQ1&index=1 한국사 211027_14:03 한국 정원은 종교와 매칭해서 구분할 수 없다 -> 전통 사상으로 이해하는 게 좋음 -> 특성을 아는 정도로만 할 것임 자연숭배와 산악숭배사상 -> 가장 핵심이 됐던 자연은 무엇일까? -> 우리는 효용이 높은 도시 생활을 하다보니 자연을 긴밀히 느낄 수 없다. -> 바로 '산' -.. 더보기
동양조경문화론_W7 211029_17:10 ☆시험 범위는 방대했다.ㅠㅠ 중국과 일본의 역사가 1도 머리에 없는 상태에서 꾸역꾸역 넣으려니 과부화가 걸리는 줄 알았다. 설계와 같이 해보려니 학교에 내내 살았었다. 중국과 일본 역사에 관한 유튜브의 도움을 많이 받았다. 나는 다짜고짜 외우려는 것보다 맥락과 흐름이 기반으로 있어야 구체적인 정보도 쉽게 외울 수 있었다. 그 점을 활용해서 공부를 해보았다. https://www.youtube.com/watch?v=KTLQ_0gIE6c 중국 역사 https://www.youtube.com/watch?v=uYyR28lMugE 중국 수도 변천 과정 https://www.youtube.com/watch?v=iiWOHiwF54g 일본 역사 시간이 꽤 걸리긴 한 영상들이지만, 정말 도움이 많..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