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20303_10:06
9주차에 중간과제 발표
16주차에 기말과제 발표
1박 2일 현장답사 추진 예정
질문에 대한 답변으로 수업 태도 반영
교과목 설명
-> 경관조형설계 이론
-> 자연과 문화
-> 미학적 이론
-> 경관 구성 요소
수업 목표
-> 조경의 역할 이해
-> 경관조형설계론에 대한 견해 정립
-> 자연과 문화에 대한 이해
-> 미학적 이론, 예술철학
-> 현상, 이슈
-> 기념 공간에 대한 실습 능력
교과목 교재
-> ★경관, 조형 & 디자인
-> 무채색공간, 홀로코스트 메모리얼(도서관에 있음)
-> 예술철학, 경문사
-> The Art of Landscape Detail(조경 디테일을 옴니버스하게 묶어놓음)
-> ★The Language of Landscape(깊이가 있음)
-> ★Places of Commemoration(설계는 일부 다루고 있고, 가치를 폭넓게 다루고 있음)
-> The Poetics of Gardens
대표학생
-> 학우들과의 소통
-> 교수님의 정보 전달
-> 학우들 의견 전달
-> 답사 시 교수님과의 호흡
수시과제 4와 5는 선택
인간 문명에 대한 질문
인간의 능력
-> "사람과 같이 말도 어디에 발을 놓아야 하는지를 알지만 오직 사람만이 스스로 발을 놓는다는 사실을 알고 있다"
-> 사람은 추상적으로 개념화할 수 있는 능력, 원하는 정신적 그림을 상상할 수 있는 뛰어난 능력을 가지고 있다.
-> 인간의 창조충동에는 두 개의 뿌리가 있음. 모방의식(사실주의적), 내면성 추구(추상적)
인간은 같은 것인가 다른 것인가?
-> 인종을 집단화할 필요가 있다
-> 아프리카 동부해안으로부터 인류가 시작(유전학의 정설)
-> 인류 60억의 공통점은?
-> 인지상정 : 사람이면 누구나 느끼는 감정
-> 인지상정이라는 테두리 안에서의 사람의 정서는 비슷함.
-> 종교나 국가의 풍습의 차별성을 가지고 있음
정체성과 공통성
-> 인간 모두가 공유하는 특성(공통성) : commonality
-> 문화 및 인종에 따른 고유한 특성(정체성) : identity
뗀느의 예술을 이해를 위한 세가지 기본적 요인
-> 선천적 또는 유전적으로 구비된 인간의 기질과 신체의 소질인 '종족'
-> 그 종족을 둘러싼 자연적 또는 사회적인 환경인 '외적 상태의 총화'
-> 과거의 시대의 작가 또는 사조가 후기의 작가와 사조에 영향을 미치는 '시대'
=> 이 세가지는 공통성에 벗어나서 고유한 정체성을 형성함
인간이 가장 많이 만든 것
-> 무덤(망자들을 위한 공간)
-> 집, 마을, 농경지
묘
-> 송파구 석촌(石村)동 백제 고분
-> 고구려 장수왕 장군총(적속총); 중국땅에 있음
-> 신라 양식 고분
-> 가야 양식 고분
-> 백제와 신라는 가까이에 있지만 다른 양식을 띄고 있음
-> 망자를 위한 무덤이라는 공통성, 각각의 아이덴티티가 있음
경관조형예술의 영역
-> 프랑스 조경가 버나드 라서스(Bernard Lassus), "예술과 조경은 나에게는 같은 것이다"
-> 조경은 대지와 조형요소, 환경예술은 조형물과 환경(환경 속에 있는 예술 조형물), 건축은 건물과 대지
-> 조경은 공간을 대체로 다룸
-> 경관조형예술은 공간에서 의미 부여가 된 경관과 예술적 요소가 부각됨
경관조형예술의 탈영역성
-> 조경가나 조각가에게 국한된 작업영역이 아니다.
-> 위대한 정원은 문학가(괴테), 화가(미켈란젤로, 모네), 과학자, ㅈㅇ치가 등 창의적 혁신가나 분야를 뛰어넘는 멀티플레이어에 의해 만들어지기도 했다.
-> 조경, 건축, 조각, 미술, 공공디자인 등에서도 서로 관계를 맺고 있다
-> 경관조형예술은 경관 + 요소를 다룸.
-> 조경가, 건축가, 조형가가 경쟁적으로 경합하고 있음
-> 영역에 개방을 두고 있음
경관조형예술의 아름다움
-> 우리는 아름다움에 대해서 많이 생각을 해야 한다.
-> 아름다움의 형식 : 형식미, 감성미, 상징미
-> 아름다움이란?
-> 사랑을 느끼는 감정
-> 5욕 7정
-> 예술철학에서는 즐거움이 목적을 주로 이야기함
-> 희극, 비극, 카타르시스를 위한 즐거움
우리는 합리적 요구에 의한 플래닝의 차원으로 예술을 인지하고 있다.
-> 준성, 작품 감상시 감정을 느낀다음에 생각해본다.
-> 생각을 자유롭게 느끼는지 구조화시킨 다음에 적용하는지
-> 작품을 보면서 자신의 내적 세계는 어떠한지?
-> 예술 작품을 가까이, 성장해야겠다는 노력, 나름의 구조화된 시도를 해야함
☆Q. 교수님은 예술을 어떻게 정의하고 있는가?
-> 조경을 접하면서 예술에 대한 노출은 기술과 아트의 축으로 보았을 때, 예술보단 technique 에 가까움. 예술보다는 합리적 사고가 설계 분야에 들어가 있음. 이번 수업으로 예술분야의 생각을 키워나갔으면.
-> 예술을 정의할 때, 창의적인가? 아름다운가?가 핵심적 키워드인 듯 하다
과제
-> 성과물보단 과제물의 노력에 초점을 맞춤
-> 레포트 낸 것을 한문장 한문장 다 읽어보심
To do
- 주교재 사기
☆예술을 미술로 착각하며 살았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