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10910_15:25
해부학적 베이스가 있는 것과 없는 것의 차이는 어마어마함.
박주형 대표이사
신체불균형의 작용 원리
근길이 이론
-> 근육은 고무줄 같다.
-> 정렬이 바르지 않은 상태에서 웨이트 트레이닝이 몸을 망칠 수 있다.
-> 우리는 뭉쳐있는 근육을 찾아서 풀어주면 됨
-> 필요에 따라서 강도있게 풀어주고, 늘어있는 부분은 여유롭게 풀어줌
근길이 중립의 중요성
Q. 라운드 숄더는 가슴운동을 하지 말아야할까?
-> ☆오히려 가슴근육이 약해졌기 때문에 라운드숄더가 되었다고 생각. 그러니 가슴은 운동하고 어깨는 풀어주는 스트레칭을 해줘야함.
-> 근육이 늘어나는 법도, 수축하는 법도 중요.
-> 스트레칭이랑 운동도 같이해주는 게 중요함
Q. 뭉친 근육만 아플까?
-> ☆아니지. 뭉친 근육이 생겼다는 것은 늘어난 근육도 있다는 말인데, 늘어난 근육에 의한 통증도 존재할 것으로 생각
-> 실제로 늘어나있는 근육이 아플 수 있다.
-> 고무줄이 땡겨진 상태에서 스트레스를 받으면 더 아픈 편
스트레칭의 한계성
-> 스트레칭하면 할수록 안 좋아질 수 있다.
근막의 움직임
-> 팔을 움직일 때 가슴, 등도 쓰임
-> 겉에 있는 막을 기준으로 봤을 때 근육이 서로 연결되어있음
규칙이 있는 의학 용어
Anatomical Location & Direction
-> Anterior : 인체의 앞면
-> Posterior : 인체의 뒷면
-> Superior : 머리에 가까운 쪽
-> Inferior : 발에 가까운 쪽
-> Medial(internal) : 정중선에 가까운 쪽
-> Lateral(external) : 정중선에 먼 쪽
-> Superficial : 표면에 가까운 쪽
-> Deep : 표면에 먼 곳
자세분류(Posture)
-> Kyphosis : 흉추 후만, 흉추가 뒤로 말릴 수 있음 ex) 피트니스 대회에서 많이 쓰는 체형
-> Lordosis : 요추 전만, 척추가 정상범위보다 앞으로 밀려나감
-> Sway Back : 등은 뒤로 만곡, 골반은 앞으로 밀려있음
-> Flat Back : 흉추랑 요추가 flat
-> Scoliosis : 척추측만증. 경미한 휨은 괜찮다.
-> 내반슬(O다리) : 무릎이 안을 보고 있음
-> 외반슬(X다리) : 무릎이 밖을 봄
움직임(Motion)
-> Flexion : 관절각도가 줄어들면서 두 뼈가 가까워짐; 무릎 빼고 웬만하면 앞으로 굽음
-> Extension : 관절 각도가 늘어나면서 두 뼈가 멀어짐
-> Abduction : 팔다리가 몸에서 멀어짐
-> Adduction : 팔다리가 몸으로 가까워짐
-> Rotaiton : 신체 분절을 하나의 축으로 돌림
-> Circumduction : Flexion, Abduction, Extension, Adduction의 연속동작
-> Shoulder Flexion을 방해하는 요소를 확인하면 문제를 찾을 수 있음.
-> Pronation : 손등이 위로 가도록 돌림
-> Supination : 손바닥이 위로 가도록 돌림
-> Inversion : 발바닥이 마주보도록 안으로 굽힘
-> Eversion : 발들이 마주보도록 밖으로 굽힘
-> Elavation : 위쪽으로 들어올리는 운동
-> Depression : 아래쪽으로 내미는 운동
-> Dorsi Flexion : 발등쪽으로 굽힘
-> Plantar Flexion : 발바닥쪽으로 굽힘
-> Protraction : 앞쪽으로 내미는 운동
-> Retraction : 뒤쪽으로 끌어당기는 운동
-> Tilting : 골반에서의 기울임으로 Anterior(전), Posterior(후), Lateral(측) 등이 있다.
-> Inflare : 골반이 안쪽으로 모아짐
-> Outflare : 골반이 바깥쪽으로 벌어짐
-> Hyper : 과도한
-> Hypo : 부족한
최소한 전문가와 대화하는 수준이 되어야함
공식
-> Compression(누르기)
-> Friction(비비기)
-> PRT(Passive release technique) : 남이 움직여줌
-> ART(Active release technique) : 자신이 움직임
-> ART가 가장 효과가 좋음
-> 주의 사항: 아파야만 내가 제대로 하는 것으로 느낄 수 있음. 아프지 않아도 효과가 있음. 누르는 것만이 능사가 아님
MMT(Manual Muscle Testing)
-> 근육이 제대로 작동하는지 테스트
-> 약한 강도로 여러 번 만져주면 근육을 되찾게 할 수 있음
-> ROM과 MMT로 문제를 해결할 예정
문제를 찾았을 때 그 원인들
-> Trigger point(방사통) : 특정부분이 콩알처럼 뭉침;
-> Taut band(주변 부위) : 주변 부위가 부드럽지 않고 딱딱함
-> Scar tissue(반흔조직) : 가동범위가 줄어들음, Balace있는 운동을 못함. 다른 부위에 통증이 생길 수 있음
-> 이런 개념들을 해소하기 위한 노력을 할 것이다.
☆깔끔하면서 명료한 수업 최고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