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STORY/Flow

210731_독서 모임 중

210722에 있었던 독서 모임에서 '공간의 생산'이라는 책을 읽고 정리한 바이다.

 

관념론 vs 실재론

- 관념론은 우리가 흔히 아는 주류 철학, 마르크스&칸트(인과율)

- 실재론(니체, 하이데거)

 

교환가치와 사용가치

- 토지까지 자본이 점유

- 토지의 사용가치가 교환가치화 됨

- 정보 하나로 혹은 토지에 무엇이 놓이는가에 따라 땅의 교환 가치가 달라지는 세상

 

재현 공간과 공간 재현

- 이 둘 사이에 골이 생기는 데 이를 '공간적 환상'이라고 함

 

기호

- 약속의 의미

- 기표와 기의가 동일시 되지 않을 때가 있음

- 이에 따라 수 많은 방식으로 의미 부여가 가능

 

거대 주거단지 by 르꼬르뷔지에

- "집은 살기 위한 기계"

- 잠자는 공장

- 생산을 위한 생산적인 공간

- 생산성을 회복하는 공간

 

투명성

- 정치 관료들은 투명하게 정책과 법을 정함

- 그러나 만들고 나서 그 뒤에 숨어버림

  "나는 정해진 대로 할 뿐!"

  => 결국 법은 문제가 없다만, 그 법에 숨어버리는 태도가 문제

- '법'이라는 투명 망토에 자신을 가려버리는 행위에 불과

'STORY > Flow' 카테고리의 다른 글

210802_지역탐구 2021 후기  (0) 2021.08.02
210731_부모의 평생교육  (0) 2021.07.31
210719_지역탐구 2021  (0) 2021.07.19
210708_단점  (1) 2021.07.08
210703_피카츄 피규어  (0) 2021.07.0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