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UOS/21-1_환경생태학

환경생태학_W5

2021.04.01

09:15am

식물은 내성의 범위가 넓다

 

우리가 잡초라고 생각했던 식물들도 인간에게 치유, 힐링에 쓰여지고 있음

 

내성의 범위가 성숙함에 따라 달라지기도 하다

 

과학이라고 해서 절대적이지 않다

 

유전자 조작이 생태계에 미치는 영향

 

통제되지 않은 상황에서 먹이사슬에게 영향을 주는 행위는 조심할 필요가 있다

-> 남산에 다람쥐가 사라졌다.

-> 내 행위 하나가 여러 곳에 영향을 끼친다

-> 까치는 잡식성이라 포식을 해서 고양이 먹이를 먹어서 개체 수가 늘어난다. 자연의 밸런스가 깨지는 중

 

금강소나무가 목재로 왜 유명한가?

-> 나무는 곧아야 잘 쓰임

-> 인장력이 가장 강함

-> 송진(기름기) 함량이 많음

-> 울진에 있는 소강천에 국유림이 있는데 금강송 전시관이 있다. 송진이 굳으면서 노랗게 돼서 나무가 썩질 않는다. 선조들은 이를 황장목이라고 했다

-> 봉산제도 : 국가에서 나무를 관리해서 개인이 쓸 수 없도록 국가에서 소유함

 

생태형 : 형태적인 특성이 유전적으로 고착이 됨

-> 소나무가 연구가 됨

-> '우에끼'라는 일본학자가 연구함

-> 생태형을 다른 종으로 보면 안되는데 종의 분화가 된 사례가 있다

 

생리적 최적력

-> 우리가 살아가는 모습은 생태적 최적력

-> 아기가 태어나면 건강사앹가 안좋으면 인큐베이터에 넣는데 이것은 인간이 만든 생리적 최적력

-> 백신은 임상실험 단계를 거친다. 쥐한테 하는 이유는 유전학적으로 인간과 가장 가까움

-> 쥐가 인간하고 먹는게 같음. 개도 가까움

-> 쥐는 어마어마하게 개체량이 많음

 

환경생태학 분야의 비전이 무엇인가?

-> 교과목이라는 것이 목적성이 있음.

-> 인간의 활동에 의해서 생태적으로 어떤 영향을 주고 있는지 연구함

-> 순수생태학은 자연의 원리가 무엇인지 아는 학문

-> 환경생태학은 '인간'이 생태계에 어떤 영향을 줘서 어떻게 바뀌는지 연구

 

선유도공원은 예전에 정수장이었음

-> 우리는 수돗물을 그대로 끌고 오는데

-> 생태적으로 어떤 중요성을 가지고 있는지

 

시립대 에코캠퍼스를 위해 만든 지역이 있음

 

길동 생태 공원은 논이었음

 

초안산 산림지역

 

사찰로 인해서 그 지역 생태계가 어떻게 영향을 끼쳤는지

 

서울 창포원

-> 과연 이곳이 생태적인지 검증을 해야함

 

물리화학적 제한요인

 

수평적 식생대, 수직적 식생대

-> 해발고도에 따른, 위치에 따른

 

온도와 식물 분포와의 관계

-> 자연을 이해하기에 굉장히 중요함

 

식물이 10~25도가 광합성하기에 최적의 온도

 

벼가 가장 많은 광합성을 함

 

광합성 조건 : CO2, 빛에너지, 물

-> 벼의 쌀알이 열량이 높음

-> 논에서 자라고 평지고 광을 가장 많이 받기 때문에 벼가 광합성하기 가장 적절함

-> 벼가 엄청 중요함

-> 논이 환경에 엄청 영향을 많이 끼침

-> 논에 가면 컨디션이 좋아짐

-> 춘천에 가면 의양호라고 큰 댐이 있는데,

-> 생태는 먹고 사는 문제 아냐?

-> 논습지라고 해서 생태적으로 가치가 있음. 생태적 생물 다양성이 높음. 기후변화에도 도움

 

 

여름 철새는 번식, 새끼 때문에, 겨울 철새는 먹이 때문에

-> 습하고 더우면 미생물이 많아서 번식하기 어려움

 

목련은 대부분 털로 감싸져 있음

 

곰은 동면하는 포유류

-> 곰은 어떻게 자면서 새끼를 낳을까?

-> 곰은 번식을 하면 체내에 가지고 있다가 나중에 수정시킴

-> 박쥐는 한 번 번식하면 끝. 필요에 따라 수정시킴

 

양수 : 광을 많이 받아야 잘 자라는 식물 ex) 소나무

음수 : 적은 빛에도 견디는 힘이 강한 식물. 빛이 많아도 잘 자람. 음수도 양수 성격을 가질 수 있음

-> 모든 식물이 광이 많아야 잘 자란다.

-> 양수는 그늘에 두면 못 삼

-> 대부분의 관목은 음수의 성향

 

개리, 세섬매자기, 뿌리

-> 기수역 : 민물과 짠물이 만나는 생명체

 

비그늘

-> 영서지방에 비를 많이 뿌림. 한강 금강 상류에 비를 많이 뿌림

-> 거기에 비를 많이 뿌려서 백두대간을 넘어가면 강수량이 현격히 줄어둘음

-> 인도양에서 북서쪽에서 바람이 불어서 히말라야 산맥에 걸리고 반대쪽이 사막이 됨

-> 미국 LA나 샌프란시스코는 태평양을 면하고 있음. 센프란시스코하고 LA 그쪽에 산맥이 있는데 시에라 네바다 산맥임. 4000m짜리. 거기에 걸리는 지역이 오세미티 국립공원임. 거기를 넘어가면 그랜드 캐년이 있음. 그랜드 서클. 데쓰 밸리라는 국립 공원이 있음. 그 지역 사막을 모하비 사막이 있음.

 

수생식물 분류하는 것은 정확하게 알 필요가 있음

 

육상식물 다른 건 모르겠고 염생식물을 알아야댐. 갯벌에 사는 식물들이 있음. 그게 염생식물.

-> 우리가 잘 아는 염생식물이 있는데 함초라고 함

 

약수터, 배드민턴장이 산림에 피해를 준다

-> 물을 약수터로 끌어오니까 개구리 생태계가 파괴됨

 

☆산 속에 배트민턴 장 대신 다른 시설이 배치되었을 때, 인간과 자연 모두 긍정적이 영향을 끼칠 수 있는 건 무엇일까요?

☆비그늘 말고도 비가 많이 오는 곳에는 어떤 지형적 특징이 있을까요?

☆냄새와 악취, 그리고 오염물질에도 잘 견디는 식물은 어떤게 있을까요?

 

☆수업이 점점 꿀잼이 되간다. 조만간 교수님과 상담한 번 해보고 싶다.

'UOS > 21-1_환경생태학' 카테고리의 다른 글

환경생태학_W7  (0) 2021.04.15
환경생태학_W6  (0) 2021.04.08
환경생태학_W4  (0) 2021.03.25
환경생태학_W3  (0) 2021.03.19
환경생태학_W2  (0) 2021.03.1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