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1.03.18
도룡뇽은 양서류. 인간보다 먼저 지구에 왔다
바다(짠물)에서 생명체가 탄생했다.
양서 : 양쪽에 서식한다. 산란하고 어렸을 때는 아가미가 있다가 성체가 될 때는 육지에서 생활
양서류는 두 가지 종류가 있다. 유미류(꼬리 있음). 무미류(꼬리가 없음)
개구리 종류는 무미류. 도룡뇽은 유미류
자연상태에서는 암컷보다 수컷이 더 많은 것 같다
도룡뇽알을 왜 먹었느냐?
-> 단백질 공급원
계곡 산개구리는 깨끗한 물에 삼. 겨울잠을 자는 동안 먹었던 모든 것을 소화시킴
수컷은 앞발에 돌기가 있음 => 암수 구별
올챙이는 포식자다. 물 속에 있는 곤충들을 다 잡아먹는다
질문
- 질문은 3개만 하기
- 잘못 질문한 사람들이 있다.
- 수업 시간에 반복적으로 질문했던 것들은 답하지 않음
- 수업과 관련없는 질문은 답하지 않는다
- 그날 수업 할 것에 대해서는 답하지 않는다
Q. 생태학은 어떻게 도입?
-> 1860년대(메이지유신) 일본 사람들이 유럽으로 유학을 많이 감.
-> 도요토미 히데요시 오사카 점령하고 일본을 통일시킴
-> 히데요시가 부하들을 못 믿게 됨
-> 내부적인 정치 상황때문에 전쟁을 발발시킴 ex) 임진왜란
-> 내부가 혼란스러우면 바깥으로 눈을 돌림
-> 히데요리(아들)이 정권을 잡지 못하고 다른 막부가 정권을 잡음. 도코가야 이데야스
-> 이데야스가 에도(도쿄)에서 정권을 잡고 힘을 키움
-> 천왕 계통인 메이지라는 왕이 막부를 빼고 정권을 차지
-> 여기서 아베의 할아버지가 메이지가 정권을 차지하는데 힘을 많이 줌
-> 메이지가 탈아시아를 선택함. 서양 문물이 더 뛰어나다는 것을 알게됨
-> 나가사키에 좌초된 배때문에 조총의 존재를 알게됨
-> 그 이후로 학생들을 선발시켜 유럽으로 유학을 보냄
-> 요꼬하마 항에 유학갔던 학생들을 불러서 배에서 못 내리게 함. 일정 점수를 받지 못한 사람들은 죽임
-> 죽기 살기로 공부했던 유학생들이 공무원이 되는데, 일본 공무원들은 무지하게 똑똑함
-> 그 때 생태학을 배워오게 되고 일제강점기때 우리나라로 들어오게 됨
Q. 보전, 복원, 경관 생태학에 차이가 있을까?
-> 경관생태학은 landscape적으로 하자. 눈에 보이는 것을 중심으로. 주로 인간이 살고 있는 공간을 중심으로 함
-> 고등학교 때 공부할 때 지식을 너무 단정적으로 배운 것 같아 보임. 이거는 이거다 라는 진리의 사고관을 버려야됨.
-> 어떤 기준이 있다는 것은 위험한 사고다. 어떠한 관점으로 보아야한다. 경향이고 유연한 관계로 인식해야된다.
Q. 연구하는 사람들이 열대 지방을 가서 연구했나요?
-> 자연을 가장 많이 망가뜨렸던 시기(제국주의 18세기)
-> 돈 때문에 식민화시킴
-> 자원 수탈을 하다보니까 생물에 대한 연구가 필요함
-> 열대 지방은 생물 다양성이 높았음
Q. 다윈과 웰리스
-> 웰리스가 나온 책을 읽어보셈
Q. 군집생태학 관련된 것
-> 도시생태현황지도
Q. 한국환경생태학회에서 의미 있었던 일
-> 학회의 틀을 만듦
-> 학술대회, 논문 발표에 집중함
-> 회의를 줄임
-> 좌장을 맡은 분께 평가와 평론을 부탁함
-> 대학원생들에게 공부가 엄청 됨
-> 젊은 사람의 박사 논문을 발표할 수 있는 시간과 100만원을 줌
절대적인 사고 방식은 안됨. 왜 그럴까? 문제 제기부터 시작해야 됨.
외부 사람 밖에서 만나고 끝내야 됨
생태학 : 생물의 생활과 환경조건과의 관계를 구명
유럽의 과학은 미분
이중환의 택리지는 읽어볼만 하다
-> 인간이 어떻게 하면 좋은 장소에서 살 수 있을까?
풍수지리는 도시계획도 포함됨
스위스에 가면 빅뱅이라는 연구소가 있음
-> 연구 소장이 우주에 대해서 한마디로 표현하면 "관계"다. 관계를 연구하는 것이다.
-> 티베트 소장도 세상에 대해서 표현했을 때 "관계"라고 표현
생태학의 이번 시간에 2번 째로 중요.
먹이 그물을 절대 잊으면 안 됨
-> 왜 피라미드일까?
개구리도 육식 동물임. 잠자리 육식 동물임. 나비는 초식 동물. 거미도 육식 동물
생산자에서 고차 소비자로 갈수록 적어져야 한다.
인간이 문제다. 인간은 아예 없애버림
☆벌이 멸종하면 인간이 멸종한다는 말을 들은 적이 있는데,
광합성 작용, 탄소동화작용
장이 튼튼해야 면역력 상승
인간 위는 반죽하는 역할.
장에서 영양분을 흡수하는 역할. 그 때 미생물들이 인간과 공생하면서 영양분을 쓸수있도록 도와줌
미생물이 없으면 동물이 존재하지 않는다
☆먹이 피라미드 진짜 개 중요, 생태학의 정의 중요.
식물이 오염된다면 오염 농도가 100배식 증가함. 그래서 중금속에 노출되면 안됨
두 가지 힌트 : 미생물 중요. 깨끗한 식물을 먹어야 함
과제
- 이번 주내로 대상지 선택
- A4 용지로 계획서 짜기
- 대상지에서 무엇을 할 거다. 는 연구계획서 제출
https://www.youtube.com/watch?v=LkVpTD0YwP0
수분
- 수매화
- 조매화
- 풍매화
- 충매화
꿀벌의 수분은 가치가 높음
군집붕괴현상
꿀벌 방해요소
꿀벌응애 : 꿀벌 진드기, 바이러스 전염
전자파
네오니코티노이드
꿀벌이 멸종하면 무슨 일
- 사람의 손으로 수분해야함
- 작물의 가격이 올라감
https://www.youtube.com/watch?v=vEOZYM4eesM
어떤 지역에 살고있는 생물의 종류의 수, 양이 균형, 안정된 상태 유지 => 생태계 평형
비둘기가 너무 많다. 천적인 매가 없다.
깨진 생태계 평형을 회복하려면 오랜 시간과 노력이 필요
https://www.youtube.com/watch?v=hf3_dPcE1T8
생태학 : 집에 대해서 알아가는 학문
-> 생물과 환경 사이와 상호작용을 연구하는 학문
생태학은 관찰에서 출발
좋은 생태학자가 되기 위해서는 좋은 관찰자가 되면 됩니다
☆감히 나를 크리에이터로 칭하고 싶다
세포, 개체, 개체 사이의 상호작용, 집단 사의 상호작용, 집단-환경 상호작용에 대해서 연구하고 있음
야생담배는 해가 지면 꽃이 고개를 든다
-> 밤에 꽃향기를 냄
-> 빛이 없어서 향기를 내어 수분 매체를 불러드림
자연사학자, 알렉산더 훔볼트
국화지손이
-> 아무런 동력 없이 움직일 수 있는 조직을 만들 수 있었을까?
https://ko.wikipedia.org/wiki/%EC%97%90%EB%A5%B8%EC%8A%A4%ED%8A%B8_%ED%97%A4%EC%BC%88
진화론 기여
일원론 : 단일성을 적용하는 시각. 일련의 존재하는 존재하는 것들은 단일한 실체나 물질로 설명할 수 있다는 시각 -> 니체가 나중에 이로 말미암아 인종차별을 정당화시킴
정치, 경제, 도적은 생물학의 응용
반복발생설
https://www.youtube.com/watch?v=EpG7TqRAGYs
탄소
-> 원자 번호 6번
-> 변신하기 쉬운 존재
-> 공유결합
-> 여러 형태로 지구를 순환
공기 중에는 co2로 존재
식물이 co2를 마시면서 광합성 => 포도당 합성 => 녹말 형태로 저장
녹말을 동물들이 먹음 => 호흡을 통해 공기 중으로 감
동물의 배설물과 사체들이 분해자들에 의해 분해함 => 공중으로 co2로 보냄
배설물과 사체는 화석연료가 됨 => 연소시키면서 co2로 방출
광합성 : 빛에너지를 화학 에너지로 전환하여 저장
-> 엽록체라는 곳에서 광합성 함
식물이 좋아하는 색은 청색광과 정색광에 많이 모임
-> why? 초록색을 반사하기 때문에 흡수하는 빛은 청색, 적생임
물과 이산화탄소가 만나 포도당과 산소를 배출
산화 : 어떤 물질이 산소와 결합, 수소를 잃음, 전자를 잃음
환원 : 어떤 물질이 산소를 잃음, 수소와 결합, 전자를 얻음
https://ko.wikipedia.org/wiki/%EC%83%9D%ED%83%9C%ED%95%99
생태학이라는 낱말을 우리는 자연계의 질서와 조직에 관한 전체 지식으로 이해한다. 즉 동물과 생물적인 그리고 비생물적인 외부세계와의 전반적인 관계에 대한 연구이며, 한걸음 더 나가서는 외부세계와 동물 그리고 식물이 직접 또는 간접적으로 갖는 친화적 혹은 불화적 관계에 대한 연구라고 볼 수 있다. |
자연의 구조와 기능을 연구하는 학문 by 유진 오덤(Eugene Odum)
생물의 분포(distribution)와 수도(abundance)를 결정하는 상호작용에 관한 과학적 연구 by 찰스 크랩스(Charles J. Krebs)
산업 생태학은 자원이용을 극대화하고 효율적으로 만듦과 동시에 환경에 대한 나쁜 영향을 극소화하는 것을 목적으로 함
☆벌이 멸종하면 인류가 멸종한다는 말이 있을 정도로 생태학적으로 큰 의의를 가지는 이 벌들을 살릴려면 어떻게 해야할까요?
☆생태학은 여러 학문과 관계맺을 수 있는 학문이라는 생각이 들었습니다. 최근에는 어떤 분야와 융합되어 발전하고 있는지 궁금합니다.
☆오염된 식물을 통해 그 오염 농도가 갈수록 증가되어 인간에게 큰 영향을 끼친다고 하셨는데, 이와 관련된 자료를 볼 수 있을까요? 그리고 GMO 식품 또한 인간의 유해한 영향을 미친다는 것을 이러한 논리로 설명이 가능할까요?
https://ko.wikipedia.org/wiki/%EB%A8%B9%EC%9D%B4_%EC%82%AC%EC%8A%AC
포식 연새
기생 연쇄
부생 연쇄
☆질문 짜내기가 쉽지만은 않다. 오늘 수업 중에 대답을 많이 잘 했더니 교수님이 나를 전전컴이 아닌 생태학과로 임명해주셨다. 괜스레 기분이 좋아졌다. 그리고 교수님 스토리텔링과 질문의 교육 방식이 너무 마음에 든다. 하버드식 방법이라고 한다. 그리고 교수님 스스로를 자신있게 자부하는 모습이 꽤나 멋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