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UOS/21-2_조경수목의 이해

조경수목의 이해_W12

211125_09:07
*헷갈리는 것
-> 소지 : 가지랑 관련
-> 화병 : 꽃자루
-> 화통 : 꽃을 감싸는 것
-> 엽병 : 입자루
-> 탁엽 : 서브잎
 
#1
-> 살구나무; 화병이 짧음
-> 자두나무; 화병이 김, 녹색 화병
-> 매화나무; 화병이 짧음
-> 왕벚나무; 화병이 김
-> 자엽꽃자두; 자주색
 
#2
-> 양살구
-> 자두나무; 양살구에 비해 약간 녹색(화병때문에)
-> 왕벚나무
 
#3
->오사카의 매림
-> 매화나무를 여러 그루 키움
 
#4
-> 목련
-> 백목련; 자색 선이 없음
-> 별목련
-> 자주목련; 바깥쪽만 자색
-> 자목련; 안쪽까지 자색
 
#5
-> 명자나무; 탁엽 발달; 도란형; 두툼한 열매
-> 풀명자; 자잘한 열매
-> 둘다 자생종은 아님
 
#6
-> 진달래
-> 잎이 없는 상태에서 꽃이 핌
-> 식용 가능
-> 철쭉은 식용 불가
 
#7
-> 영산홍
 
#8
-> 만병초
-> 꽃이 뭉쳐서 자람
-> 상록성
-> 영국, 일본에서 잘 자람
-> 꽃이 가지 끝에 달림
 
#9
-> 조팝나무
-> 가지를 따라서 꽃이 자람
 
#10
-> 앵도나무
-> 꽃잎이 5장
-> 장미과
-> 잎이 주림이 짐
-> 관목성상
-> 왕벚나무랑 비슷한 특성
 
#11
-> 풀또기
-> 겹꽃, 만첩
-> 과하게 심으면 지나치게 화려해보임
 
가래나무과
-> 기수우상복엽
-> 호생
-> 종별로 소업의 개수, 형태의 차이가 나타남
-> 수꽃은 미상화서
-> 열매의 형태가 독특함
-> 과수의 목적으로 많이 식재했었음
-> 호두나무의 열매는 동그람, 가래나무는 좀 더 길쭉한 형태
-> 가래나무에는 먹을 게 좀 적음; 껍질이 두꺼워서
-> 굴피나무; 열매가 겨울철에 짙은 갈색으로 변함; 잎이 떨어져도 열매로 구분가능함
-> 따뜻한 곳에서 나옴
-> 내염성이 강한 편
-> 가래나무에 비해 거치가 잘 발달해있음
-> 중국굴피나무는 학교에 한 주 있음
-> 화서; 여러 개의 꽃이 모여있는 것
 
버드나무과
-> 종이 엄청나게 많음
-> 빨리 자람; 광합성을 많이 함; 증산작용이 활발함; 수분을 많이 흡수함
-> Salix 속
-> 수변에서 둔치에서 심든 상관없음
-> Populus 속; 삼각상의 난형
-> 양버들; 최근에 많이 심음
-> 은사시나무; 저지대의 습한 땅; 수피가 흰색; 목질도 색이 밝음; 삽목을 해야댐(수나무, 암나무 구분이 어려워서)
-> 둔치에서 심는 게 좋음
-> 피침형
-> 교목성상
-> 능수버들; 가지가 처짐
-> 버드나무; 가지가 처지지 않음; 적습
-> 용버들; 가지가 비틀림
-> 관목, 소교목성상
-> 갯버들; 하천 복원시 식재
-> 키버들; 얘 혼자만 잎이 대생
-> 선버들; 우리나라 하천일대에서 자생함
-> 타원형
-> 교목성상
-> 왕버들; 주산지가 유명; 활용성 측면으로 봤을때 버드나무보다 더 있음
-> 관목성상
-> 떡버들
-> 호랑버들
 
자작나무과
-> 미상 꽃차례(수꽃, 때로는 암꽃 포함)
-> 잎의 형태는 다양하나 대부분 연주맥
-> 속별 수피의 특성이 다소 나타나나 일반적이지 않음
-> Alnus 속
-> 거친 수피
-> Betula 속
-> 수피가 벗겨짐
-> Carpinus 속
-> 수피가 울끈불끈함
-> 오리나무; 적습에 잘 적응; 수피가 거침;
-> 백두산에 만주자작이 있음
-> 사스레나무
-> 자작나무가 자연적으로 조성된 숲은 거의없음
-> 물박달; 수피가 물에 불린 것 같음; 초기에 자작나무를 심었다가 나중에 물박달인지 아는 경우가 있음; '물'이나 '개'는 가짜라는 뜻임
-> 서어나무; carpinus 속
-> 소사나무; 심한 굴곡을 짐; 내염성이 강함
-> 개암나무; 헤이즐넛과 누텔라의 원료
 
참나무과
-> Fagus 속
-> 너도밤나무
-> 온대지역
-> 장타원형의 잎
-> 주걱형의 잎
 
*둔치
-> 저수부지에서 제방까지라고 이해하면 될 듯
-> 하천구역 : 제방과 제방 사이
 

'UOS > 21-2_조경수목의 이해' 카테고리의 다른 글

조경수목의 이해_W11  (0) 2021.11.12
조경수목의 이해_W10  (0) 2021.11.05
조경수목의 이해_W9  (0) 2021.10.31
조경수목의 이해_W8  (0) 2021.10.31
조경수목의 이해_W7  (0) 2021.10.1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