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11031_01:04
일본목련
-> 외래종
-> 잎이 나오기 꽃이 나옴
-> 1960년 정도에 일본에서 옴
-> 잎 끝이 뾰족, 목련과에서 잎이 가장 금
-> 장점 : 꽃이 늦게 핌. 잎이 다나고 '초여름'에 핌. 향기는 좋음
-> 단점 : 크기가 큼. 가지 끝에 꽃이 자라서 잎에 가려 안 보임
-> 말단부 가지가 두꺼움(잎이 커서)
-> 잎이 복엽이다(그냥 목련은 복엽 X)
-> 가지가 불규칙적으로 구불구불 퍼짐 => 좋은 수형은 아님
-> 겨울눈이 자람(이것이 클수록 잎도 가지도 나무도 큼)
-> 새들이 먹고 배설하는 과정으로 번식함
-> 일본 목련보다 백목련을 많이 씀
화백
-> 온대남부
마가목
-> 열매 독특
-> 복엽
-> 1회 기수 우상복엽
-> 가지 두께가 두껍다
-> 거치 날카롭
-> 소엽 10개
-> '엽흔'의 크기가 큼
-> 호생함
-> 흰꽃
-> 소교목성상
-> 유사 수목 : 쇠물푸레(대생, 거치 X), 개쉬땅나무(흰꽃, 관목성상)
-> 노란단풍, 빨간 열매
-> 마가목주로 만들면 맛있음
느티나무
-> 초반에는 수피가 흰or회색 => 검정색으로 바뀜(스트레스 or 대기오염 때문)
-> 피목이 모스부호처럼 가로로 배열
-> 느릅나무과 느티나무속 : 잎 표면에 거친 털이 있어서 거침, 왜저(잎의 아랫부분이 비대칭)
-> 느릅나무과 팽나무속은 잎에 광택이 있는데 만지면 거침
-> 벚나무보다 피목 작고 얇고 오래살고 수형이 좋음. 그늘을 만들어줌
-> 자생지 : 습윤한 계곡부 사면(습윤한 토양을 좋아함)
사철나무
-> 관목(소교목), 전정
-> 상록성, 온대남부(온대 중부 식재가능)
-> 노박덩굴과 사철나무속은 대생
-> 유사 수목 : 화살나무(같은과 같은 속)
화살나무
-> 낙엽성
-> 꽃이나 열매
-> 잎이 치밀함. 단풍은 붉게 물둠
-> 대생
-> 줄기에 날개가 있음
-> 잎은 타원형
-> 유사 수목 : 회잎나무(화살자리에 선형 날개가있음)
만첩개벚(겹벚나무)
-> 왕벚나무는 꽃이 크고 잎보다 꽃이 먼저펴서 더 예쁨
-> 겹벚나무는 가지 처짐. 가지 말단부는 두께가 두껍고 길다(꽃이 크기 때문)
-> 다발로된 꽃이 열림
-> 왕벚나무를 조경수로 많이 심는 편
회양목
-> 상록성
-> 관악산에 많음
-> 전정을 해줌
-> 꽃은 연녹색이라 잘 안 보임
만경목
-> 잎의 형태가 식물의 초기랑 나중이랑 달라짐(갈래가 있었다가 붙어감, 소엽이 있었던 거 아님.)
-> 포도나무과
-> 덩굴성 목본; 특징으로 기근 발달
-> 줄기가 벽에 붙음
쥐똥나무
-> 물푸레나무과
-> 단엽
-> 향기가 좋음
명자나무
-> 탁엽 발달
-> 가시가 있음(짧은 가지가 가시로 함)
-> 열매 : 명자나무(10cm 정도), 풀명자(5cm 정도)
일본잎갈나무
-> 벗겨지기 전엔 회색
-> 벗겨지면 적색
-> 수간의 직간성이 좋음
-> 생작속도 빠름(토양 수분 공급이 있어야 함)
-> 노란 단풍이 진함
단풍나무
-> 특징 : 잎이 갈라짐. 대생. 열매는 씨과
-> 단풍색은 잎의 당 성분때문
※단풍
-> 단엽에 잎에 갈라지는 정도; 3회 : 신나무, 중국단풍; 5회 : 고로쇠; 5~7회 : 단풍; 9~11회
-> 복엽중에 복자기 나무는 소엽이 3개정도 거치가 불규칙, 복장나무는 비슷하지만 잎의 거치가 규칙하며 수피가 지저분함
홍단품
-> 사시사철 단풍
-> 토양양분이 안 좋으면 잎이 녹생됨
-> 청단풍은 따로 없고, 홍단풍과 구분하려고 함
반송
-> 큰 두개의 줄기
옥향, 둥근향
-> 인엽
눈향
-> 인+침엽
호랑가시나무
-> 감탕나무과
-> 잎 테두리가 밝음
모감주나무
-> 비스듬히 자람
-> 복엽. 소엽에 꽈리형태의 열매(갈색)
-> 장점 : 꽃이 늦게 폄(여름에) [cf. 수국, 배롱나무, 자귀나무, 일본목련이 여름에 핌]
-> 단독수보다는 모아서 식재
백송
-> 창경궁
-> 헌법재판소(천연기념물)
-> 생장속도 느림
-> 비쌈
주목
섬잣나무
-> 생장속도 느림
수수꽃다리
-> 잎이 심장형. 굉장히 씀
-> 꽃 향이 좋다
-> 물푸레나무과는 대생
자귀나무
-> 콩과(대체로 복엽); 유일한 단엽은 박태기나무
-> 소엽은 작다(미모사와 비슷)
-> 야합수(밤에 합쳐짐)
-> 꽃은 늦봄, 초여름에 핌. 향기 좋다
-> 수형 좋다
-> 콩과 식물은 토양 질소 고정작용을 함. but 배수에 취약
중국단풍
-> 사과
-> 교목성상
-> 단풍나무과
-> 수피지저분
-> 대기오염에 강함
'UOS > 21-2_조경수목의 이해' 카테고리의 다른 글
조경수목의 이해_W11 (0) | 2021.11.12 |
---|---|
조경수목의 이해_W10 (0) | 2021.11.05 |
조경수목의 이해_W8 (0) | 2021.10.31 |
조경수목의 이해_W7 (0) | 2021.10.15 |
조경수목의 이해_W6 (0) | 2021.10.09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