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UOS/21-2_조경수목의 이해

조경수목의 이해_W10

211105_12:38

개쉬땅나무

 

마가목

-> 거치

-> 복엽

 

빙돌

-> 꽃말발들(?)

-> 겨드랑이에 흰색 꽃이 핌

-> 대생

-> 쥐똥나무는 측맹이 잘 보이지 않음; 거치가 없음; 가지끝에 남

-> * 만첩빙돌이

 

라일락

 

덜꿩나무

-> 잎이 작음

-> 잎이 특이함

 

가막살나무

-> 잎이 큼

-> 잎과 가지에 털이 있음

-> 잎의 폭이 좁게 나옴

 

앵도나무

-> 관목선상에 왕벚나무랑 비슷하게 자람

-> 잎보다 꽃이 먼저진다

-> 장미과에 ~~수가 병충해(복숭아유리나방)에 약함

 

진달래

-> 거치 X

-> 측맥이 잘 안보임

-> 산에 가면 흔함

-> 영사농이 더 예뻐서 잘 안심음

-> 진달래가 영사농보다 꽃의 밀도가 더 적음

 

두충나무

-> 약재로 씀

-> 잎을 말려서 차로 씀

-> 잎에 점액이 있음

 

등나무

-> 줄기에 기근이 없음 ex) 호박덩굴

 

영사농

-> 단엽

-> 산철쭉, 겹산철쭉이 베이스

-> 반상록성 : 잎이 다 떨어지지 않고 낙엽이 짐

 

자작나무

-> 가로로 검은 줄

-> 노란 낙엽이 특징

 

쪽동백

-> 잎에서 끄트머리가면 거치가 생김

-> 원래 까만 수피

-> 때죽나무과(2종 있음)

-> 때죽 나무; 쪽동백보다 작음; 열매가 길다람

-> 전체적인 수관의 밀도 & 말단부가지로 두께 알 수 있음

-> 전정할 때 바짝 잘라야함

-> 지룡이 다 덮어주기 위함

-> 그래야 옹이가 잘 생겨짐

 

복사나무

-> 개복숭아

-> 벚나무과

-> 소지가 녹색

-> 장미과

-> 잎이 장타원형

-> 진분홍색 꽃을 핌

 

풀또기

-> 잎 거치가 톱니

 

맹자나무

 

장미과는 한 종 빼고 호생함

 

조팝나무

-> 잎이 나기 전에 꽃이 수관을 덮음

-> 최근에 일본 조팝을 많이 심음

 

대생하는 나무

-> 물푸레

-> 단풍나무

-> 노박덩굴과

-> 인동과

-> 범일기과

-> 마편축과 ex) 작살나무

-> 층층나무과; 층층나무만 호생

 

병꽃나무

-> 병모양의 꽃

-> 겨드랑이에 꽃이 자람

-> 그냥 병꽃나무는 베이지, 노란색 꽃

-> 붉은병꽃나무도 있음

 

황매화

-> 초본

-> 다양한 색상의 변화

 

회화나무

-> 소지가 초록색

-> 기수 우상 복엽 1회

-> 수관의 질감이 부드러워보임

-> 콩을 진공포장해서 자란 것 같음

-> 소엽하나하나가 거칠지 않음

-> 가로수로 많이 쓰임

 

마로니에, 가시칠엽수

-> 대생

-> 열매가 밤처럼 생김

 

백당나무

-> 수국처럼 중성화, 양성화가 같이 핌

-> 봄철에 꽃, 가을철에 열매

-> 불두화랑 비슷

 

스트로브잣나무

-> 회색에다가 수피가 매끈

-> 잎이 가늠

 

남천

-> 기수 복엽 3회

-> 가시 발달 X

 

모과나무

-> 수피가 독특 ex) 산딸, 백송, 노각

-> 기침에 좋음

 

비술나무

-> 느티나무과

 

자엽꽃자루

-> 색깔이 원래 홍색임

-> 꽃색

-> 자두 : 백색; 화병이 길다

-> 살구 : 분홍, 털

-> 매화 : 아이보리, 소지가 녹색, 털, 화병이 거의 X

 

일본매자나무

-> 우리나라 매자는 가지가 3개로 갈라짐

-> 주걱형의 잎

-> 반상록성의 잎

 

팽나무

-> 왜저

-> 느릅나무과

-> 팽나무속

-> 정자목으로 많이 쓰임

-> 거치가 아래쪽에 없음

-> 거치가 아래쪽에 다 있으면 풍개나무

-> 수피가 주름짐

-> 활용성이 높음

 

꽃사과나무

-> 오랫동안 잘 안 자람

-> 관리하기 어려움

 

광나무

-> 물푸레나무과

-> 쥐똥나무랑 비슷하게 핌

 

능수버들

-> 수양버들은 중국에서 들어옴

-> 능수버들은 우리나라 고유종

 

버드나무

-> 포풀러 : 삼각형, 양버들 ex) 은사시나무

-> 잘릭스 : 잎이 길쭉

 

이태리포풀러

-> 미주나무 + 양버들

 

능수개벚

-> 왕벚나무랑 거의 비슷

 

말채나무

-> 대생

-> 만곡평행맥

-> 층층나무과

-> 감나무랑 수피가 비슷

-> 꽃이 잎이 나오기 전에 핌

-> 꽃잎이 있음

 

산딸나무

-> 잎이 나오고 나서 핌

-> 불완전화

-> 꽃잎없음

-> 꽃받침이 있음

-> 계곡에서 자생

 

꽃피는 순서

-> 개나리, 진달래 => 벚나무, 살구나무 => 영사농 => 수국

 

야박나무

-> 사과나무 종류

 

위성류

-> 피자식물

-> 활엽수

-> 중국에서 들여다옴

-> 침엽수인척 함

-> 1년에 2번 꽃이 핌

-> 내염성이 겁나 좋음

-> 수형이 거지같음

-> 가지가 위로 자람

-> 오래 못 삼

 

꽃아그배

-> 꽃사과랑은 큰 차이가 없음

-> '꽃'이 앞에 붙으면 재배품종

 

☆도감을 직접 읽어봐야 겠다는 생각이 든다. 단순히 돌아다니면서 보는 거랑은 큰 한계가 있다.

'UOS > 21-2_조경수목의 이해' 카테고리의 다른 글

조경수목의 이해_W12  (0) 2021.11.25
조경수목의 이해_W11  (0) 2021.11.12
조경수목의 이해_W9  (0) 2021.10.31
조경수목의 이해_W8  (0) 2021.10.31
조경수목의 이해_W7  (0) 2021.10.1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