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UOS/21-1_조경 계획

조경 계획_W7 공간 계획은 어떤 곳에 대한 희소성 미래를 준비하는 것이다. 미래에 대한 일터 충분한 일터 미래를 어떻게 준비하느냐에 따라 계획이 달라진다. 지속가능성 이야기 지속가능성을 이해하는 것이 사람마다, 집단마다 다름 조경에서는 그린 인프라에서 다룸 직면하고 있는 큰 이슈는 기후 변화 환경, 사회, 경제 혜택 => 생태계 서비스 이완 매커드 ? : 보존할 것은 제대로 보존하고, 이용할 것은 제대로 이용하자 -> ☆누구지? 그린 인프라 전략 가깝게, 좋은 형태, 크면 좋다 자족성 도시라고 하는 것은 단독으로 살아갈 수 없는 특성 => 도시 농업이 발전할 수 밖에 없음 토시 소유자 만족을 맞추기가 어렵다 공간이라는 특수성이 복잡함 서울 부동산 이야기 미래 변화요인과 그린인프라 관계 변화 요인 : 기후변화 + 사회(.. 더보기
조경 계획_W6 2021.04.06 지역 자산의 이야기를 들어보아라 요즘 사회적 자산(사람, 문화예술인 등)에 대한 것들이 트랜드 지역 자산을 목록화해서 활용하기 ex) 군산의 일본 마을 하고 싶은 것과 왜 하고 싶은 지에 대한 논의 => '목표'의 중요성 => 수치화 될수록 좋음 용산 공원을 예를 들어보자면 시간적 범위를 고려하여 차츰 공원화시킬 계획을 들 수 있음 용산 공원을 어떻게 쓸지에 대한 프로그램(내용적 범위)를 계획할 수 있음 현장에 가서 구체적으로 가서 파헤쳐보라 조심스럽게 답사하면 좋을 것 같다 ☆익산 가야될까? 어느 정도 방향을 수립해놓고 시작 ex) 연구 배경 및 목적 -> 근거와 타당성을 찾아보기 -> 달팽이관처럼 계획 수립하는 것도 방법 환경규제지역의 에코시티 모델 ex) 대부도 지역주민의 개발욕.. 더보기
조경 계획_W5 2021.03.30 1조 코로나 블루 집 안에서의 여가 중심 폐쇄적, 실내 공간 이용 감소 산림치유의 효과 치유의 숲이 활용되지 못하고 있음 시간이 없고 경험이 없어서 도시 숲 경험을 잘 하지 못함 도시 숲의 네트워크를 확대 환경 문제를 어떻게 해결할 생각인지? ☆환경 문제는 어떻게 연관시켜서 생각하고 있는지? ☆도시 숲 형성에 경제적인 지원은 있는지 국외 사례 - 독일 뵈리스 호펜 Q. 숲 조성의 경제적 효과? => 교수님 용어를 정확하게 정리할 필요가 있다. 도시숲이 치유숲인지. 서울시가 10개소를 운영하는 건 어떤건가? 어떤 기준인건가? 2조 광화문 광장 개편 광화문 광장의 역사, 육조거리 1차원적인 공간이었다가 시민들의 공간으로 변화함 이제는 입체감을 도입함 교통체증 브래스의 역설 Q. 교통영향평.. 더보기
조경 계획_W4 2021.03.23 적지 분석 입지 분석이라고도 함 문제를 인식하고 대상지를 발견하고 적합한 토지 이용을 찾아냄 공간의 기본구상 토지이용계획 수립 어떤 경우에는 자료 만드는 데 돈이 많이 들어서 활용하지 못할 수도 있다 적지 분석에 답은 없다. 예전에는 자연 공원을 많이 지정했다. 비용효과 분석방식의 접근(사업단위) 물리환경적 분석방식의 접근(시스템 차원) => 가치 지향 도면 결합법 => 합산 미래상을 그리는 것과 목표를 설정해야함 => 설득하기 위함 낮에 이용할 건가 밤에 이용할 건가 어떤 규모를 다루는가 시민참여에 대한 문제 중요 조경은 공공이 만드는 사이트에 대해 공부 개별 site에 대한 계획 프로세스는 타당성이 가장 주요 효과 ☆프로세스를 잘 설명해주시는 거 같은데 이해를 잘 못하겠다. 자원의.. 더보기
조경 계획_W3 2021.03.16 09:30am 인식된 문제는 공간으로서 해결한다면 30~40밖에 해결하지 못할지도 모른다. 문제 이슈의 과정을 어떻게 거쳐야할지 앞으로 이끌어주심 계획이라고 하는 특수성은 자원의 부족문제와 연관되어있음 => 자원의 한정성을 해결하는 게 굉장히 중요함 시스템 측면의 문제, 지역이나 대상지의 계획이 있을 수 있음 계획의 '기조'? ESG(환경 지속가능성 거버넌스) ☆경영에도 트렌드가 있는데 그 트렌드의 의미가 변질되는 순간 타락해버릴 것이다. 이해관계가 부족하면 원칙이 명확해야한다 이미지화되지 않은 상태로 계획이 공유가 되었을 때 서로가 다르게 상상할 것이다 부문별 기본계획 식재계획 전기 건물 상하수도 돈을 어떻게 끌어올것인가도 굉장히 큰 문제 지방자지단체의 돈이 별로 없다. => 파이낸.. 더보기
조경 계획_W2 2021.03.09 계획을 수립하는 이유는 한정된 자원을 활용하기 위함 ex) 부족한 마스크를 어떻게 해결해야 할 것인가? => 약국을 통해 판매 => 국민의 사고관 변화 => 사재기 변화 => 이제는 시장에서의 자유화를 주었다 같은 공간에 몇 명이 사느냐의 문제를 생각해보자 용적률과 건폐율 층수는 용적률과 건폐율에 따라 달라진다 서울에는 높이 규제도 있다 내가 무언가를 하려고 하면 규제에 접촉이 되는지 아닌지 하나씩 해결해나가야한다. 서울시 도시기본계획을 꼭 읽어봤으면 좋겠다 도시기본계획에서는 생활권에 대한 관리를 해나가고 있다. 그리고 가장 핵심은 토지이용계획이다. 모든 것이 얹어져있다. 도시과 수업의 토지이용계획을 들어봤으면 좋겠다. ☆이 수업은 따로 예습을 해야겠다. 하나도 기반이 안다져 있으니 ..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