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UOS/21-1_정원 스튜디오

정원 스튜디오_W2

2021.03.10

02:06pm

대상지 분석의 이해

 

조경 프로젝트라는 게 일련의 과정이 있다.

 

 

 

Design Project A : 기본 전제 > 자료수집> 자료분석> 종합 > 기본구상 > 대안 > 기본계획

                                      -대상지 분석

Design Project B : 자료분석 > 종합 > 기본구상 > 대안 > 기본 계획

 

설계의 단계를 다르게 해석할 수 있다

 

'조경계획 설계' 책에 대해 참고해보면 좋다

 

자료수집 및 분석 : 본격적인 프로젝트 진행단계

  • 물리 생태적 분석 : 자연 환경요소

  • 사회 행태적 분석 : 사회적 및 인관-환경의 관계성

  • 시각 미학적 분석 : 이용자에게 지각되어지는 전반적인 이미지 및 이용자의 선호가 조사의 초점

 

대상지 분석 - 객관적 자료

  • 동선이용분석 - 차량 이동, 인도, 주차장,

  • 외부 환경 분석 - 포장 및 시설물, 식생

  • 시설현황분석 - 건립시기(건축), 외장재료 및 색채현황

  • Public vs Student : 공공성과 학생들의 공간을 mapping

 

시립대학교가 독특하게도 주로 일반 통행이지만 정문에 양방향이 있다.

 

조경가가 건축을 완전히 배제할 수는 없다.

 

시립대가 빨간 벽돌보다는 유리 패널 등의 외장재를 씀

 

객관화된 자료로 sampling 하여 대상지 분석을 함

 

대상지 분석 - 주관적 자료

  • 가장 논란이 많음

  • 모든 사람이 동의 할 수 있는 미적 가치를 찾아내는게 어려움

 

Private Garden

  • 무엇을 원하고 무엇을 하지 않았으면 좋겠는지 명료하게 제시를 하셨음

  • defined edge : 선이 깔끔한 자재

  • 의뢰인에 맞게 자료 조사하는 게 굉장히 중요

  • texture 에 민감해 했다. 빛 반사를 고려

  • 식재로 벽을 만드는 것은 시간이 많이 필요

  • 의뢰자 曰 "화로를 넣는 것은 어떠냐?"

  • 사료 조사, 이미지 베이스의 분석이 중요

  • 대화가 많이 필요

 

Public Garden

  • 발주처 : 교수님

  • 이용자 : 주민, 방문객, 학생

  • 평가 : 교수님

  • 대상지에 어떤 옷, 테마가 무엇인지 고민

  • Sculpture Graden? or Flowering Garden? or Healing Garden? or Temporal Garden? Play Garden? Pocket Garden? Sports Garden?

 

다음 주에 기능과 프로그램에 대해 설명해주실 예정.

 

1조

문제 공간, 개선 공간을 나눔

학생회관 옥상

법학관 옆 쓰레지장

전농관 앞 공간 : 정문답지 않고 공터같음. 단조로움

법학관 구름다리 : 멀리서 바라보는 경관을 바꿀 수 있겠다. 흡

 

4조

입학처 마당 : 심고 싶다.

조형관 : 자작나무를 다르게 심고 싶다.

100주년 기념관 휴게공간 : 이동동선 부족, 연결이 한 쪽으로만 되어있음

 

3조

작년에 잘했던 조

인간과 시리의 합작

교수님 曰 " 프레임을 가지고 가는게 좋다. 좋은 발표자료라서 다른 사람들도 확인했으면 좋겠음"

"여기서의 핵심은 합리적인 문제 해결. client가 문제가 있는지도 잘 모른다. 문제를 해결하려고 하면 더 큰 문제가 있음. 민원이 문제의 핵심일까? 조경가가 해야될 문제가 있고 아닌 문제가 있다. "

 

☆ To 반장, 어떻게 공부하셨는지?

 

교수님 Time

site가 겹치면 경쟁이 된다. 항상 늘 나오는 데가 있다.

쓰레기장은 어디가지? Zero Sum 문제. 프로젝트가 되기에는 좀 그렇다.

프로도 1번이 제일 하고 싶을 때가 많다. 3번은 버리는 후보

☆James Corner는 누구인가?

실외기는 없애버릴 수 없다.

이쁨의 문제가 부수적임

여기는 인문 사회적 분석이 중요함. 개인적인 동아리 활동을 하는 사람들은 실제로 어떻게 사용하고 싶을까?

학관 옥상이 너무 넓을 수가 있다.

입학처 마당도 많이 했었다. 문제라고 생각함. 하다 만게 맞음

부분의 합이 전체가 되지 않는다

구지 조경가가 필요할까?

문제를 미시적으로 규정하다보면 전체가 애매해질 수 있다

물리적 생태적 개선을 해봤자의 문제가 있다.

전체를 다루면 너무 버거워진다.

길 하나의 문제가 산 전체의 문제이다

문제인데 장점인 것들이 있다. 연애로 치면, 맨날 싸우는데 헤어지지 않음.

사람이 많아야 좋은 공간일까?

문제이면서 장점일 수도 있다는 것을 확인해야 된다.

☆교수님 하시는 말씀이 방방뛰는 것 같다. 맥락을 잘 확인하여 의도와 목적을 해석하는 중...ㅎㅎ

대강당 우측 공간) 쓰레기보다는 건너편과의 관계를 잘 확인해야됨. 왜 그 공간을 쓰지 않는지

배봉산) 영역이 구분되어있어서 누구든 하면 좋은데.. 문제 사면 어떻게 해?

자유도가 높은 문제가 있다.

사람들이 모른다고 해서 나쁜 것은 아니다

 

8조

공공 정원의 모습의 대나무숲

흡연 공간의 부재

 

5조

계단식 구조

 

교수님 타임

컨셉을 잡고 하면 괜찮다는 의견

어떻게 하면 공간 자체를 매력적일 수 있을까?

공간과 문제가 별도이다.

물리적으로 플랜카드의 공간이 필요한가?

구시대의 유물을 해결한다고 했을 때 다른 문제를 발생할지도.

정보 공유의 공간화를 한다는 것에 대나무숲이 맞을 수도 있다

휠체어와 오토바이

☆ 후문에서 오토바이 통제를 해결할 수 있는 방법?

☆ 학교와 학생 시설물을 점검하거나 개선할 때 가장 중요하게 고려할 사항?

-> 문제가 해결이 되어야 함. 문제를 없애는 게 아닐 수도 있다. ex) CC들을 위한 공간.

-> 문제를 해결했는데 별로일 수도 있다.

-> 문제를 해결하는 데에 물 or 레고를 넣는다. & 사색의 공간

-> 문제가 문제임을 설명해야된다.

-> 누구를 위한 설계인가?

-> 모든 분석을 할 필요가 없을 수가 있다.

☆시민들이 학교 공간에 왔었을 때 생겼던 문제는?

-> 강아지 문제

-> 이집트에서 주민들도 함부로 대학을 가지 않는다.

경사도를 고려할 때는 높이와 입체적인 분석이 제일 중요

나는 어떤 거에 집중해야 할까?? 를 생각해보면서 집중하고 세컨으로 내세울지 생각

 

☆답지도 없는 문제집으로 공부하면 좋을 것 같다.

 

다음 주 과제

  • 개관적인 자료를 통해서 대상지 분석해서 발표

 

☆질문을 많이 했는데 잘 받아주셨다. 답변이 내가 말한 논지와 살짝 다르긴 했다만, 그래도 최대한 다양한 관점으로 설명해주실려고 하셔서 좋으시다. 1학년 수업을 안 들어서 캐드랑 입면도에 대해 공부해봐야된다고 알려주셨다. 할게 넘쳐난다. 오늘은 발표를 했는데, 생각보다 반응이 좋으셔서 또 기분이 좋다.

'UOS > 21-1_정원 스튜디오' 카테고리의 다른 글

정원 스튜디오_W6  (0) 2021.04.08
정원 스튜디오_W5  (0) 2021.04.02
정원 스튜디오_W4  (0) 2021.03.25
정원 스튜디오_W3  (0) 2021.03.17
정원 스튜디오_W1  (0) 2021.03.0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