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UOS/22-1_서양고전중세건축

서양고전중세건축_W1

220302_14:21

왜 호모사피엔스가 인류의 지배적인 속성이 되었을까?

-> 건축과 무슨 상관일까?

-> 긴 인류문명의 역사에서 변화의 기점에서 인지 혁명, 녹경 혁명, 과학-산업 혁명이 일어남

-> 세상도 변하니 건축도 변화한다

 

건축의 기본 개념들은 무엇이며 건축은 어떻게 변하는가?

 

건축은 무엇인가?

-> 정왕기, 목적에 맞춰 공간을 만드는 일

-> 교수님, 메타버스도 공간인가? 건축가가 그러한 것을 만드는 가?

-> 교수님, 건축이란 말은 언제부터 쓰기시작했을까?

-> 이은석, 개화기 때 쯤

-> 교수님, 110년 정도 전에 건축이라는 말이 있다고 하지만, 그 전에는 없었을까?

 

의도가 있는 건물은 과거랑 현재랑 어떻게 달랐을까?

-> 과거에는 관료 체계 안에 육조가 있었음. 거기서 중세 장인들의 모아 명령을 내림

-> 과거에는 건축주는 있는데, 명확한 디자이너가 없음

-> 르네상스라는 시대부터 건축가가 등장함

 

건축이 공간인가?

-> 건축학과에서 공간을 만드는 방법과 지식을 배우고 있음

-> 건축이라는 게... 지식이다

-> 건물이 건축이 되기 위해서는 노하우가 들어가야 함

-> 사람이 어떻게 사용하는 지 알고 디자인하는 것

 

건축도면을 읽는 법

-> 도면도 하나의 언어라는 것

 

인지 혁명

-> 의사소통

-> 공동체를 실현하게 됨

-> 이는 건축과의 관계에 영향을 미침

 

농업혁명과 건축혁명이 여전히 불가분관계라는 건 무엇일까?

-> 산업혁명과 건축은 어떤 관계?

-> 재료와 운송 수단의 발전

-> 대량 생산과 소비가 도래되었음

-> 스케일이 산업혁명 이후에 달라진다

 

스페이스 오딧세이

-> 1968년 영화

-> 인류 문명의 변화를 보여줌

-> 인식 혁명의 순간을 외계에서 온 가공된 물체를 보면서 상징된 형태로 등장하게 됨

 

스톤헨지

-> BC 3000에 만들었지만 하지와 동지를 알고 있었다

-> 농경 사회는 계절의 변화를 잘 알고 있어야 했다

-> 건축이라고 할 수 있는 것을 추적해보면 스톤 헨지를 들 수 있음

-> 고인돌은 공간을 만드는 방법 중 하나임

-> 동지일 때 재단과 일직선상에 올 수 있게 만듦

 

얼마나 나하고 이어지고 있는지... 가령 로미오와 줄리엣에서 사회적인 체제 속에서 갈등이란 뭘까? 사랑이란 뭘까?

-> 아무리 오래된 이야기지만 나에게 의미있는 이야기라고 생각해보는 것

-> 건축에서도 고전이 있음. 이게 어떻게 이어지는 지 이해를 해야됨

-> 건축에서는 연속성과 단절이 있음

 

 

혁명이라고 함은 어떤 기준으로 책정될 수 있을까?

시대에 따라 인간의 삶이 바뀌어간다. 그에 따라 건축의 형식도 변화한다. 이런 맥락에 맞춰 역사의 흐름이 생긴다. 이러한 관점은 건축의 틀을 제시해주기 마련이다. 그렇지만 나는 이 견해를 좀 부정해보고 싶다.

 

 

To do

- 패트릭 넛갠스, 건축 이야기, 동녁, 2001

- 강의 자료 뽑기

 

'UOS > 22-1_서양고전중세건축' 카테고리의 다른 글

서양고전중세건축_W0  (0) 2022.03.0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