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11013_24:19
창랑정
-> 창랑은 맑은 물에 머리를 씻고 라는 뜻에서 유래됨
-> 회랑이 동선, 공간 구획, 심미적 특징을 가짐
-> 중국은 양식에 따라 중국을 설명하진 않는다.
계리궁
-> 회유식 정원
-> 일본은 어떠한 양식에 따라 정원을 설명
-> 식재를 인위적으로 전정하는 것이 일본의 특징
-> 관리를 중요시여김을 알 수 있음
예원
-> 구곡교 : 9번 꺾여 있는 다리
-> 물이 중요한 요소
-> 점입가경 : 가면 갈수록 경치가 더해지는 곳
-> 상해에 있음
-> 부지가 굉장히 넓고 김
-> 담장으로 여러 개로 구획되어 있음
-> 새로운 공간들을 경험할 수 있도록 구성되어 있음
-> 남방 정원의 특징은 지붕이 엄청 뾰족함
-> 누창이 기대감을 줌
-> 태호석
평등원
-> 불교 사상을 반영
-> 침전조 양식
-> 침전조 양식에 사상을 극대화한 정토 정원; 극락 정토를 현세에 도입
-> 봉황당; 아미타여래상이 모셔져 있음
-> 석등
-> 반교와 평교
유원
-> 소주의 4대 명원
-> 큰 연못을 중심으로 중원, 동원, 서원, 북원으로 구성
-> 많이 화려해짐
-> '봉래'라는 이름을 붙여준 걸 보면 신선사상
-> 화창, 유창, 공창
-> 석가산 배치
겸육원
-> 지천회유식 정원
서호풍경
-> 육지의 인공호수가 됨
-> 4가지의 이름을 가지고 있음
-> 백제 : 백거이가 마듦
-> 소제 : 소동파가 만듦
-> 소상8경이 원조
-> 조망점일수도 있고 조망대상일 수도 있음
-> 십경이라는 개념이 우리나라와도 맞닿아있음
육의원
-> 엄청난 규모의 연못과 섬
-> 일본은 '축산'이라는 개념을 씀
-> 시정화의 : 시와 같고 그림과 같은 정원
개원
-> 대자연의 장관을 과장하여 묘사한 것이 원림의 특징
-> 사합원은 주택 양식(북경에 한정); 그 안 쪽의 공간이 마당; 포장된 공간에 화분을 놓았음; 강남에 사가원림까지 이어서 생각 x
용안사
-> 무로마치시대
-> 고산수정원
-> 물을 사용하지 않고 물을 표현
-> 돌의 배치 '비례미'
서원
-> 구료벽
-> 티벳식 라마탑
-> 4개의 왕조를 거쳐서 만든 서원
삼보원
-> 원경 : 지천식 정원
-> 전경 : 고산수식 정원
-> 앉아서 바라보는 구성이 특징
졸정원
->★욕양선억
★황가원림과 사가원림 비교
서방사
2층 212호에서 시험
'UOS > 21-2_동양조경문화론' 카테고리의 다른 글
동양조경문화론_W8 (0) | 2021.10.29 |
---|---|
동양조경문화론_W7 (0) | 2021.10.29 |
동양조경문화론_W5 (0) | 2021.10.09 |
동양조경문화론_W4 (0) | 2021.10.09 |
동양조경문화론_W3 (0) | 2021.09.16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