UOS/21-2_조경재료 및 시공

조경재료 및 시공_W2

13lue 13oy 2021. 9. 16. 22:08

210914_09:03

조경의 장점이나 허점

-> 지식이 넓게 앎

-> 조경의 잠재성은 지속될 것

-> 타전공학생들에 비해서는 많은 기회를 갖게 될 것

 

조경재료의 특성

-> 토목, 건축에서는 공학적 특성만 배움

-> 예술 분야에서는 미적인 측면만 배움

 

지구온난화, 코로나는 조경과 어떤 관련성이 있을까?

-> 전염병은 어제 오늘의 문제가 아님

-> 21세기 들어서면서 인간이 지구의 자원을 남용한 결과 대기의 온도 등에 영향을 미쳤다는 결과가 생김

-> 조경분야는 친환경적 특성이 다른 학문에 비해 더 강함

-> 우호적인 분위기

 

탄소제로

-> 지구가 끝이 남

 

친환경이라는 말이 새로운 말이 아니다

 

美를 보여줄 수 있는 외부 공간에 초점을 맞춰야된다

 

공학적 특성

-> 역학적 성질 : 탄성 및 소성, 강도, 경도, 강성, 연성 및 전성, 인성 및 취성

-> 물리적 성질 : 밀도, 비중, 함수율, 흡수율, 열에 대한 성질, 빛에 대한 성질, 음에 대한 성질

-> 화학적 성질 : 화학적 조성 및 결합, pH, 화학적 반응 및 오염 등

-> 내구성

 

탄성(<-> 소성)

-> 탄력적인 성질

-> 원래대로 회복하는 성질

 

소성(<-> 탄성)

-> 원래 형태로 회복되지 않고 그대로 남아있는 성질

 

☆학문도 먹고 살기 위해서 발전한 게 아닌가?

 

응력

-> 외부 하중에 저항하는 힘

->☆복습 꼭 필요!!

 

★강도

-> 철근과 콘크리트를 같이 쓰는 이유는 인장강도와 휨강도를 증가하기 위함

-> 플라스틱같은 경우 크리프강도에 취약함

-> 강도는 지구상에 있는 모든 구조체를 설명할 때 씀

-> 단위는 MPa를 씀

-> 내 주위에 구조물이 어느 MPa까지 버틸 수 있는지가 잘 알아보시길 바람

-> 압축강도, 인장강도 2가지 속성은 손에 꼽음

 

경도

-> 재료의 단단한 정도

-> 브리넬 경도 : 강구압자(구슬같은 시험체)를 가하여 압입된 면적을 측정함

-> 모스 경도 : 스크래치에 대한 상대적 저항석; 광물석을 이렇게 분류; 석재와 포장재의 마모저항성을 분석하는데 사용 ex)보도 블럭, 화강석(석영 7도), 대리석(3~5도, 마모정도가 높음)

 

강성

 

연성

-> 길게 늘어나는 성질

-> 경도가 큰 물질은 연성이 작음

-> 같은 금속일지라도 순도가 높거나 온도를 높이면 연성이 커진다.

-> 18K가 순금보다 더 단단함

-> 금속을 잡아 댕겼을 때ㅕ

 

전성

-> 판상으로 되는 성질

-> 금속을 롤러나 망치로 필 때

 

인성

-> 주철 ex) 맨홀 뚜겅, 가로수 보호 덮개; 큰 망치로 때리면 깨짐(탄소를 많이 함유하고 있기 때문)

 

☆우울해

 

밀도

-> 밀도가 높은 이야기는 비중이 높음 => 강도가 높음

-> 물리적 조합에서는 그런 이야기를 할 수 있음

-> ex) 골밀도

 

비중

-> 목재의 비강도는 철강보다 크다

-> ☆겉보기 비중, 진비중은 어떻게 부분할까?

 

함수율

-> 재료 속에 포함되어 있는 수분의 중량

-> 건조해도 무게가 줄지 않은 시점, 절대건조시, 항량의 상태

-> 함수율은 재료에 따라서 선택적으로 성질이 달라짐

-> 수분과 긴밀히 연동하는 재료에서는 긴밀히 연동됨

-> 콘크리트는 수분의 작용에 의해서 피해를 입게 됨

-> 조경 분야에서 탑3안에 드는 중요한 성질

 

흡수율

-> 일정시간 물속에 넣었을 때 건조 중량에 대한 흡수량의 비율

-> 물이 동결되면 콘크리트가 깨짐

-> 친환경적으로 볼 때 흡수량이 중요한 속성

 

열에 관한 성질

-> 비열

-> 열전도율 ;축열 연구 진행중

-> 열팽창계수

-> 콘크리트의 신축줄눈

 

열용량

-> 비열에 질량을 곱함

-> 비열이 클수록 많은 열이 축적

-> 콘크리트는 쉽게 냉각되지 않음

 

연화점

 

빛에 대한 성질

-> 빛은 참 소중함

-> 식물은 광합성을 못함

-> 투과율/반사율/흡수율

-> 기후변화를 생각했을 때 고려해야하는 성질들

 

음(音)에 대한 성질

-> 매질이 밀도(비중)이 높아지면 소리의 전달 빨라진다.

 

흡음률

-> 음의 에너지를 흡수하는 효율

 

차음도

-> 음의 세기가 반대편에서 얼마나 약하되었는가

 

방음

-> 조경이랑 연관이 많이 되어있음

-> 층간소음

 

플라스틱

-> 열가소성 수지/열경화성 수지

 

시멘트

-> 수화과정을 통해 강도를 얻게 됨

 

식물의 토양 정화

-> 오염된 토양에서 정화됨

 

내구성

-> 기대수명 동안 구조물이 가져야 할 성능을 포함해서 경제성까지 추가해서 볼 수 있음

-> 내후성/내식성/내마모성/내화학약품성/내생물성

-> 어린이 놀이 시설은 수명이 어느 정도 되어야 할까?

-> 콘크리트는 100년이 지나도 강도가 증가됨

-> 대한민국 국민들은 부동산에 예민해져있음

-> 고쳐서 쓸 수 있는 아파트도 부셔버림

-> 국가적인 자원을 낭비하는 것과 같음

-> 안전진단 통과(?)

-> 우리는 전반적으로 너무 쉽게 부숨

-> 오래 편안하고 쾌적하게 살 수 있는 환경을 만들 수 있도록 노력해야 한다

-> 놀이 시설 안전 관리 기준이 강화돼서 5~10년 정도마다 교체하는 것 같다

 

함수율은 같은 재료 일지라도 고정된 값이 없음

-> 그때 그때 달라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