UOS/21-1_조경 계획

조경 계획_W4

13lue 13oy 2021. 3. 25. 21:26

2021.03.23

적지 분석

  • 입지 분석이라고도 함
  • 문제를 인식하고 대상지를 발견하고 적합한 토지 이용을 찾아냄
  • 공간의 기본구상
  • 토지이용계획 수립

 

 

어떤 경우에는 자료 만드는 데 돈이 많이 들어서 활용하지 못할 수도 있다

 

적지 분석에 답은 없다.

 

예전에는 자연 공원을 많이 지정했다.

 

비용효과 분석방식의 접근(사업단위)

물리환경적 분석방식의 접근(시스템 차원) => 가치 지향

 

도면 결합법 => 합산

 

미래상을 그리는 것과 목표를 설정해야함 => 설득하기 위함

 

낮에 이용할 건가 밤에 이용할 건가

 

어떤 규모를 다루는가

 

시민참여에 대한 문제 중요

 

조경은 공공이 만드는 사이트에 대해 공부

 

개별 site에 대한 계획 프로세스는 타당성이 가장 주요 효과

 

☆프로세스를 잘 설명해주시는 거 같은데 이해를 잘 못하겠다.

 

자원의 한정의 문제 때문에 계획을 함

 

공간에서 수요예측이 정말 중요

 

그 다음 단계에서 중요한 것이 타당성

  • 적절한 수입
  • 지원
  • 지속가능한 운영
  • 비용

 

문제를 이끌어내기위해서는 '자원부족'을 이용해야됨

 

5W1H로 계속 질문을 던져보아야함

 

청계천은 물값만 1000억임

 

국가공원은 어떤 것을 가지고 있어야 할까?

 

공원이 있으면 범죄 예방이 됨 => 경찰력을 쓰지 않아도 되는 효과가 발생

 

교통 시간 단축으로 경제성을 얻을 수 있음

 

귀에 걸면 귀걸이, 코에 걸면 코걸이여서 경제성에 대한 비판을 받음

 

기본적으로 통계청, 국토부(V-workle) -> 공간 자료, data.go.kr(공공데이터포털), 서울시 빅데이터 캠퍼스, 통계데이터센터,

 

☆캐드랑 PPT 디자인 법을 공부해봐야겠음

 

환경 자원을 가지고 있더라도 문화 관광과 연관시켜 지역 활성화를 할 수 있음

 

지역이 가지고 있는 콘텐츠를 중점적으로 활성화시킴

 

환경영향평가

 

경관자원 : 되게 광범위함

  • 랜드마크
  • 전망
  • vista
  • 점,선,면

 

다양한 경관을 창출하는 의도가 새로운 이용행태로 발전할 수 있음

 

SWOT이라는 틀에서 분석하는 게 좋을 듯

-> 인터넷에 찾아보면 엄청 많이 나옴

 

해외 사례를 찾을 수 있는 방법

 

선배 사례 1

  • 저출산
  • 고령화
  • 공간적 범위
  • 기본 구상
  • 기본 구상에 대한 틀(process)를 만듦
  • 어떤 공원으로 만들 것인지

☆ 선배 사례 중에 쩌는 게 있어서 감탄만 했다. 그리고 다행히 예전에 채헌이랑 얘기했던 팜타워를 계획할 수 있는 좋은 기회가 생겨서 기분 좋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