조경 계획_W2
2021.03.09
계획을 수립하는 이유는 한정된 자원을 활용하기 위함
ex) 부족한 마스크를 어떻게 해결해야 할 것인가? => 약국을 통해 판매 => 국민의 사고관 변화 => 사재기 변화 => 이제는 시장에서의 자유화를 주었다
같은 공간에 몇 명이 사느냐의 문제를 생각해보자
용적률과 건폐율
층수는 용적률과 건폐율에 따라 달라진다
서울에는 높이 규제도 있다
내가 무언가를 하려고 하면 규제에 접촉이 되는지 아닌지 하나씩 해결해나가야한다.
서울시 도시기본계획을 꼭 읽어봤으면 좋겠다
도시기본계획에서는 생활권에 대한 관리를 해나가고 있다. 그리고 가장 핵심은 토지이용계획이다. 모든 것이 얹어져있다.
도시과 수업의 토지이용계획을 들어봤으면 좋겠다.
☆이 수업은 따로 예습을 해야겠다. 하나도 기반이 안다져 있으니 집중도 잘 안된다
개발과 관련해서는 "환경영향평가"가 제일 중요하다
최근에는 '보건'과 '교통'에 관련한 것들이 환경계획에서 크게 화두임
도시를 입체적으로 관리하기 위해서 다양한 수단들을 활용하고 있구나
지구단위계획이 좀 더 와닿는다.
"획정"이라는 용어가 중요
메타인지 방식으로 기억하는 것이 기억에 잘 남는다
육하원칙과 유사한 방식으로 질문을 만들고 데이터를 정리해봐야 된다.
과제개인적으로 공간에서 만들어질 수 있는 문제에 대해서
-
미래의 가능성까지 염두
-
한 페이지로 요약
-
이러이러한 것들이 문제가 될 것이다
-
국토연구원, 서울연구원, 경기연구원 등에서 연구함. 이쪽에서 연구하는 것들에 대해서 제목들에 대해서 확인해보면 좋음
-
이번주 금요일까지 제출
-
선배들 자료까지 확인
☆잘 모르는 게 많아서 당황했다. 그리고 너무 졸려서 한 2시간 정도는 그냥 자버렸는데... 다음에는 그러지 말고, 월요일에는 일찍일찍 자서 수업 준비해야겠다. 이 교과목은 유독 무지해서 차근차근 찾아보면서 정리해보아야겠다. 정리한 것도 블로그에 같이 포스팅하면 좋을 듯 하다. 그리고, evernote에다가 필기하는 것보다 유인물에 손필기하는 게 더 유용할 것 같아서. 손필기를 바탕으로 포스팅할 계획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