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UOS/21-2_동양조경문화론

동양조경문화론_W2

210908_14:09

동아시아 삼국의 전통경관

  • 조경(造景) : 경치를 만들다

-> 나에 의해서 다른 사람의 보는 풍경이 달라짐

-> 조경가는 단순한 직업이라기보다는 사회적 책임을 가짐

  • 전통(傳統) : 전해져서 내려옴
  • 정원(庭園)
  • 경관(景觀)

-> '본다'라는 것을 떼면 안됨

-> 조경학 안에서 경관을 이야기하기가 모호함

-> 경관의 다의성

-> 경관이 무엇인지를 아는 것이 저마다의 과제

 

설문해자

-> 중국책

-> 원 : 울타리로 두르고 유실수를 심어 기르는 곳

-> 포 : 울타리를 두르고 채소를 심어 기르는 곳

-> 유 : 울타리를 두르고 동물을 기르는 곳

-> 먹거리와 관련된 것이 정원이 시작이었음 => 실용정원

-> 정주 환경

-> 나가서 먹을 것을 구하는 수동적인 것 말고, 내가 원하는 것을 얻겠어.! => 농경생활

 

한, 중, 일의 정원의 한자가 다르다.

-> 중국은 건물과 관련

-> 일본은 동산 원

-> 한국은 나라동산 원. 넓은 의미.

-> 우리가 생각하는 정원은 서구에서 만들어졌음.

-> 우리 정원을 이해하는 것은 다른 측면이 필요함

 

중_원림(園林) : 넓은 뜰

-> 숲이 있을 정도

-> 지금도 중국에서는 한국보다 덜 생소하게 쓰임

 

한_경원(景苑)

-> 자연이 선사한 경치

 

도가사상

-> 자연에 순응

-> 동아시아 근대 이전, 경관 조영(造營)의 태도

-> 營 : 경영할 영

-> 우리 조상은 조경이 아닌 조영을 썻다.

-> 우리보다 참 현명하다

-> 공간을 만드는 것에 그치지 않았음

-> 공간을 지속가능하게 하는 생각을 계속 했었음

-> 서구학문에서는 칸막이를 만들고 전문성을 높임.

-> 과거에는 한 사람이 한 공간을 만들고 고치고 써서 전문성의 분리가 없었음

-> 조경학도의 입장에서 퇴계 이황도 조경가 => 도산 서당을 직접 기획 설계함

 

동아시아 근대 이전, 경관 조영의 결과

-> 비록 사람이 만들되 마치 하늘이 만든 것처럼 천연스럽게 한다 by 계성

-> 만들었는데 어떻게 원래 있던 것처럼 만들 수 있어?

-> 돌출되지 않도록 만들어라

 

중국의 전통정원

  • 황가원림 : 황제의 정원 ex)자금성
  • 사가원림 : 귀족 or 부를 축적한 사람의 정원, 주택정원

-> 화려함

 

일본의 전통정원

  • 중세(가마꾸라, 무로마찌)
  • 근세(에도)

 

한국의 전통정원

  • 궁궐

-> 정원에 경계가 없음

  • 서원
  • 전통마을
  • 별서 ex)소세원, 보길도
  • 루 : 높은데서 봄 ex)관한루
  • 정 : 다리가 짧음&방이 있음

 

중국 역대 왕조의 연대기

-> 순서 정도만 알아두면 좋을 듯

-> 왕조가 수도로 삼았던 곳

 

중국 최초 도시 "은허"

-> 황화강을 따라 강변에 문화가 발달

-> 갑골문자

-> 한자의 기원

-> 이 문자 안에서 '은허'라는 도시가 있었음을 알 수 있었음

 

10만 년 전에는 한, 중, 일이 연결 되었었다.

 

靈 : 신령스러울 영

-> 영대

-> 영유

-> 영소 : 연못

 

진의 황가원림

  • 상림원

-> 왕족들의 원했던 이상향

  • 사가원림

-> 화려한 정원

 

위, 진, 남북조

  • 낙양

-> 방림원을 화림원으로 개명

  • ★문인정원

-> 곡수연 : 시 짓고 술마시는 모습

-> 곡수연 vs 곡수거 ; 헷갈리지 말기

-> 귀거래사 : 전원으로 돌아가는 삶을 이야기함

-> 귀원전거 : 전원으로돌아가는 삶의 모습

-> 음주 : 어느 정도 취해서 문화를 즐김

-> 채국동리하

-> 은거 ; 내 뜻과 맞지 않는다면 물러나 선택할 수 있는 대안vs 은둔

-> 안빈낙도 : 자연 안의 삶을 추구

-> 동쪽 울타리에 국화를 심는다 : 나는 은거하는 삶을 살고 있다는 상징

-> 도화원기 ; 무릉도원

 

수, 당

-> 풍복해서 조경이 발달했던 시기

  • 사가원림

-> 와유문화 : 누워서 즐기는 문화 by 그림

-> 시인이자 화가

-> 평천장

-> 아름다운 경치 : 신선의 경관

 

북송, 남송

  • 소상팔경도

-> 우리나라 팔경문화에 영향을 줌

  • 태호석
  • 향주의 서호풍경

-> 앞쪽의 두글자는 장소, 오른쪽은 시간or기상(고정되지 않은 경치들)

-> 소제춘효, 곡원풍하 등등

-> 이름을 가지는 의미에 대해서 고민을 하게 될 것

-> 전통 문화의 지혜로움의 가이드

  • 창랑정

-> 창랑 : 푸른 물결

-> '나는 은거야'

-> 바깥 강을 볼 수 있도록 바깥쪽이 뚫려있음4-

-> 평면도, 높이도 굴곡이 있음

-> 시선을 일부로 제한시키도록 함

  • 사가원림

-> 증단백의 화십우, 장민숙의 화십이객

-> 격에 맞게 아칭을 부여

  • ★주돈이의 애련설

-> 광풍제월

-> 담양 소쇄원의 정자 이름을 곽풍각, 제월당이라고 칭함

-> 국화는 은일자(은거)

-> 모란은 부귀자

-> 연꽃은 군자

-> 연꽃은 탁한 물에서도 자람. 세상이 혼탁해도 모범적인 선비로서의 삶

-> 꽃을 심는 것 외에도 명칭을 부여

 

☆졸려 죽는 줄.... 역사를 배우는 건 참 좋은 거지만, 맥락없이 몰아 배우는 건 고역이다. 이야기 없이 그저 개념만 머리 속에 들어갔다 나갔다하는 기분이다. 역사가 암기과목이 되버린 것 같아서 좀 아쉽다. 그래도 외우고 이를 앎에 따라서 새로운 게 보이겠지하는 믿음으로 공부해보려한다. 아직은 처음이니까.

 

☆옛날 사람들은 다 멀티가 가능했던 것 같다.

'UOS > 21-2_동양조경문화론' 카테고리의 다른 글

동양조경문화론_W6  (0) 2021.10.15
동양조경문화론_W5  (0) 2021.10.09
동양조경문화론_W4  (0) 2021.10.09
동양조경문화론_W3  (0) 2021.09.16
동양조경문화론_W1  (0) 2021.09.01